고졸 출신이 지난해 늘어난 일자리의 절반을 차지하면서 취업 전선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그 결과 최종 학력이 고등학교 졸업인 취업자가 처음 1000만명을 넘어섰다. 1996년 900만명을 돌파한 지 18년 만이다. 불황 속에서도 고졸 취업자가 크게 늘어난 것은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그들의 일자리가 안전한 것인지, 학력에 따른 차별은 없을지 걱정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고졸 취업자 수는 1010만5000명으로 2013년보다 26만9000명(2.7%) 증가했다. 지난해 늘어난 일자리 53만3000개의 절반을 웃돈다. 이에 따라 전체 취업자에서 고졸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12년 만에 처음으로 상승해 39.5%를 기록했다. 2011년부터 4년째 이어진 고졸 취업자 증가세는 정부의 적극적인 유인책과 대학진학률의 하락이 맞물린 결과다. 특히 대학진학률은 2008년 83.8%까지 치솟아 정점을 찍은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2013년에는 70.7%로 떨어졌다. 여기에 은퇴 세대이자 고졸 학력자가 많은 장ㆍ노년층의 구직이 급증한 것도 큰 영향을 줬다. 지난해 50세 이상의 취업자는 44만명으로 전체의 83%를 차지했다. 대학 진학률이 하락하고 상대적으로 고졸 취업자가 늘어나는 현상은 고무적인 변화다. 과잉 교육투자에 따른 국가와 가계의 재원낭비를 막는 것은 물론 개인적으로도 적성을 살려 일찍 자립할 수 있다. 그러나 엄밀하게 보면 지금의 대학진학률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너무 높다. 학력거품이 더 꺼지고 고졸 취업자가 늘어나야 하는 이유다. 무엇보다 고졸자를 보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그들을 둘러싼 환경의 개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사정은 녹록지 않다. '비정규직 장그래'가 상징하듯 고졸 취업자는 여전히 약자다. 학력에 따른 임금 격차는 줄어들지 않는다. 고졸 직장인의 월급을 100으로 했을 때 대졸자는 161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승진이나 직무배치, 정규직 전환 등에서도 여전히 불이익을 받는다. 그런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고졸 취업자 1000만명 시대의 의미는 퇴색할 수밖에 없다. 겉치레 학력보다 능력으로 평가받는 사회를 만드는 데 정부와 학교, 기업이 함께 더 노력해야 한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