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KT경제경영연구소)
스마트홈 현실은 회색빛…이용자 인식부족 커구글-애플-삼성, 시장 주도 3强, 스마트홈 제약요소 선결해야M&A투자·암호화 적용·합종연횡·신규기술 개발이 해답[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사물인터넷(IoT)이 일상화된 미래사회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초연결을 근간으로 한 스마트홈의 현실과는 괴리가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전자, 구글, 애플 등 정보통신기술(ICT)사업자들이 스마트홈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지만 시장은 미성숙돼 있다는 얘기다. 무작정 뛰어들 것이 아니라 과거 유비쿼터스의 실패사례를 교훈 삼아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약요건 선결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21일 KT경제경영연구소 디지에코가 발간한 '구글-애플-삼성의 스마트홈 삼파전'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홈시장은 2014년 480억달러에서 2019년 1115억달러로 연평균 19.8% 성장이 예측된다. 스마트홈 관련기기 판매량도 2017년 3590만대로 2014년 대비 약 73%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2019년에는 전 가구의 26%가 스마트홈 시스템을 보유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메이저 ICT 사업자들은 경쟁구도를 변화시킬 신성장동력으로 평가해 스마트홈 선점을 위한 개척 노력이 활발한 상태다. 특히 구글과 애플, 삼성이 IoT 영향력 톱10 기업에 선정되는 등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다.하지만 일반 대중들의 스마트홈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보편화되기에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Parks Associates에 따르면 스마트홈 서비스와 제품에 대해 잘 모른다는 응답이 62%를 차지했다. 또 스마트홈 BM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할 용의가 있다는 대답은 35%에 불과했다.
(자료-KT경제경영연구소)
민준홍 KT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스마트홈이 대중화를 위해서는 여러 선결과제들이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그는 개별 BM진행과 보안불안감, 표준 부재, 기술 제약 등을 제약요인으로 꼽았다. 주요 기업들은 각각 플랫폼 사업자, 기기제조사 등 본연의 핵심역량 기반이 달라 BM이 상이하고 이로 인해 업체 스마트홈 제품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호환 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또 IoT에 대한 보안위협이 가시화되면서 스마트홈 이용 활성화를 저해하는 불안감이 증대되고 있고, 표준규약이 없어 사업자가 시장진입에 적극적일 수 없는 것도 문제라고 밝혔다. 또 네트워크 노후화 등 현재 기술 인프라의 제약으로 스마트폼 운용 효율성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구글, 애플, 삼성 등 3강(强) 사업자들이 스마트홈시장을 거대시장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인수합병(M&A)투자와 암호화 적용, 합종연횡, 신규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실제 사업자 이슈로 봤을 경우 구글은 M&A로 단기간에 역량을 보완해 스마트홈 시대에도 플랫폼 장악력을 유지하려고 하고 있으며 애플은 스타트업 등 소규모 M&A와 협력사업자 확보로 우수한 기술력 확보를 시도 중에 있다고 밝혔다. 삼성 역시 과거 M&A에 소극적이었으나 최근 신속한 M&A 추진으로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자료-KT경제경영연구소)
사용자 측면에서는 구글의 경우 콘텐츠, 모바일 OS 암호화에 우선 초점을 두고 향후 이를 활용한 스마트홈 보안 적용 중에 있으며 애플은 iOS에 암호화 적용 및 보안 규정 마련 등으로 개인정보 보호강화 조치를 마련 중에 있다. 삼성은 올 상반기부터 3중 보안안전 장치 계획을 포함한 스마트홈 2.0시대 개막을 예고했다.표준이슈에서 구글은 후발주자지만 THREAD GROUP 컨소시엄과 독자연구를 통해 표준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애플도 스마트폰 플랫폼인 iOS기반의 독자표준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삼성도 표준선점을 위해 OIC, THREAD GROUP, QIVICON 등 주요 컨소시엄에 동시 참여 중이다.민 연구원은 "스마트홈은 IoT 토털 패키지로서 향후 ICT 산업의 촉매제로 경제부흥이 가능하다"며 "과거 유비쿼터스 실패 사례를 교훈 삼아 시장활성화를 위한 제약조건이 선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스마트홈 산업 부흥 시 아이폰 이후 제2의 트래픽 폭증에 따른 네트워크 증설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전제한 뒤 "추가망 투자 비용에 대한 생태계 구성원 공동부담으로 장기적 ICT 선순환 구조를 수립해야 된다"고 조언했다.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