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김혜민 기자] 금융당국이 올 하반기 전반적인 기업 실적 부진을 우려해 부실기업을 대상으로 강력한 선제적 구조조정을 추진키로 했다.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고착화되면서 흑자부도에 빠지는 기업이 늘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부실이 우려돼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에 들어간 기업들마저 부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최근 주채권은행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한 대기업집단 10곳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267.4%로 1년 전보다 20% 가량 높아졌다. 이는 평균인 260%를 웃도는 수치다. 이들 그룹의 계열사 중 35곳은 '자본잠식' 상태에 놓여 있었고 74개 계열사는 부채가 과다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한국경제를 뒷받침해왔던 삼성전자의 실적마저 흔들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 2분기 영업이익이 7조2000억원으로 2년 만에 8조원 밑으로 떨어졌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의 부진이 하반기 전체 기업들의 평균적인 실적악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금융당국은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부실이 우려되는 기업에 대한 선제적 구조조정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동양과 STX 구조조정 사태를 교훈 삼아 부실이 커지기 전에 구조조정을 유도, 기업을 살리고 시장의 충격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주채무계열 선정 기준을 강화해 재무구조개선 약정 체결 대상을 전년 대비 두 배 가량 늘렸다. 올 하반기에는 법정비를 통해 기업구조조정을 상시화할 계획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부실 대기업의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올 하반기까지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상시법제화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이를 공식화했다. 구조조정 대상에는 건설ㆍ조선ㆍ철강 등 최근 업황이 악화된 취약업종 기업들이 대거 오를 것으로 보인다. 구조조정은 금융당국의 주도하에 채권단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여의치 않을 경우 그룹 총수들은 경영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경영권을 내놓아야 할 가능성도 크다. 현재 금융계열사 지분을 두고 금융당국, 채권단과 갈등을 빚고 있는 동부그룹이 대표적이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은 그룹의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혀 하반기 구조조정의 강도가 상당히 높을 것임을 시사했다.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금융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