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세지감 10년] ③ 골프장 '양적 팽창과 출혈 경쟁, 그 이후는?'

2004년 205개에서 2014년 494개로 2.4배 증가, 경영 위기 '퍼블릭 전환'으로 돌파하는 중

회원제 18홀에 퍼블릭 63홀을 접목한 무려 81홀 규모의 군산골프장. 최근에는 수익금으로 18홀 회원제 입회금을 반환해 전 코스를 퍼블릭으로 운영할 시스템으로 변신하고 있다.<br />

[아시아경제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205개 vs 494개'.한국 골프장의 지난 10년간 증가 추이다. 2004년 초 205개에 불과하던 골프장은 올해 494개로 무려 2.4배나 증가했다. 퍼블릭은 특히 55개에서 231개로 4.2배나 늘었다. 회원제가 초기 투자비 회수를 위해 무기명 회원권 남발 등 무리수를 두다가 영업이익률이 급락했고, 여기에 입회금 반환이라는 치명타까지 얻어맞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퍼블릭 전성시대'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탄생했다. ▲ 골프장산업 '격동의 10년'= 사실 골프인구는 크게 늘었다. 골프장 이용객 수는 2003년 1528만명에서 지난해 2941만명으로 2배 가까이 급증했다. 골프붐에 편승해 그린피도 크게 올랐다. 회원제의 비회원 주말 그린피는 2003년 16만9000원에서 지난해 20만8000원으로 23.1%나 상승했고, 18홀 이상 퍼블릭 역시 같은 기간 13만원에서 16만4000원으로 26.2%나 비싸졌다.문제는 골프인구 증가세보다 골프장이 늘어나는 속도가 더 빠르다는 점이다. 수요가 넘치던 골프장산업이 양적 팽창과 함께 위기에 직면했고, 이는 다시 출혈 경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다. 그야말로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미운 오리새끼'가 됐다. 홀 당 이용객 수에서 쉽게 알 수 있다. 회원제는 2003년 4346명에서 지난해 3373명으로 22.4%, 퍼블릭은 같은 기간 5300명에서 3785명으로 28.6% 크게 감소했다. 수익성을 나타내는 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회원제는 2003년 26.3%에서 지난해는 불과 2.0%에 머물렀다. 퍼블릭은 같은 기간 44.4%에서 28.3%로 하락했지만 회원제에 비하면 그나마 나은 실정이다. 투자 가치가 사라지면서 골프회원권 값은 당연히 폭락했다. 120개 회원권 평균 가격은 2003년 1억3726만원에서 2008년 3억1705만원까지 치솟았다가 지난 연말 1억1000만원으로 최고가 대비 64.0%나 폭락했다. ▲ 퍼블릭 전성시대 '그러나'= 대세는 일단 퍼블릭으로 모아지고 있다. 현재 공사 중인 골프장 대부분은 물론 기존 회원제까지 속속 퍼블릭으로 전환하는 추세다. 회원권 분양난에 막대한 세금, 여기에 개별소비세 등 다양한 세금이 붙는 회원제는 이제 메리트가 없다. 퍼블릭은 반면 영업이익률이 33.7%로 아직은 짭짤하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분석한 '2012 골프장 경영실적 분석'이다.퍼블릭은 물론 회원모집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초기에는 금융권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이후 수익금으로 갚는 방식으로 조성한다. 공사비 상환과 금융비용 등이 꾸준히 발생해 당기 순이익률은 15%대로 낮아진다. 그래도 회원제보다는 낫다. 기존 회원제로서도 어차피 입회금을 반환해야 한다면 퍼블릭으로 변신해 낮은 그린피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시도다.관건은 퍼블릭의 급증으로 앞으로는 수익성이 점차 낮아진다는데 있다. 전문가들은 "당장 오는 2016년에는 퍼블릭이 절반을 넘어 설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한국 골프장의 미래는 그래서 낙관과 비관, 딱 그 중간이다. "이미 신설 골프장 공급이 줄고 있고, 세제와 제도의 개선, 노캐디제 등 새로운 형태의 골프문화가 확산되면서 충분히 흑자 경영이 가능 할 것"이라는 낙관론과 "일본처럼 한순간 버블이 꺼질 것"이라는 비관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골프장산업 지표. 자료=한국레저산업연구소 '레저백서 2014'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골프팀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