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 고액에도 요청은 줄줄
벤 버냉키 FRB 의장[사진=김근철 특파원]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힐러리 클린턴 미국 전 국무장관,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전 재무장관.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공직에서 물러난 뒤 고액 강연료를 받으며 쏠쏠한 수입을 올리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몸값 비싼 강사 대열에 합류한 이가 또 있다. 바로 벤 버냉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전 의장이다.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간) 버냉키 전 의장의 강연료가 미국에서는 1회 20만달러(2억여원), 아시아권에서는 2배인 40만달러 선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한 번의 강연으로 연준 의장 당시 받았던 연봉(20만달러)을 벌고 있는 셈이다. 이미 버냉키 전 의장이 올해 강연 등으로 벌어들일 수입이 수백만달러를 훌쩍 넘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20만 달러에 달하는 고액 강연료 부담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강연 요청은 쇄도하고 있다. 그는 FRB 의장에서 물러난 이후 지난 3월 한 주에만 아랍에미리트의 아부다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스, 미국 휴스턴 등에서 열린 강연과 행사에 참석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냈다.내로라하는 전세계 기업들이 만만치 않은 강연료를 지불하고서라도 버냉키 모셔오기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그의 이력 때문이다. 버냉키 전 의장은 8년 동안 FRB를 이끌면서 미국의 금리ㆍ통화정책을 주물렀다. 그가 현 금리ㆍ통화정책을 짠만큼 금융ㆍ투자회사들은 양적완화 정책의 방향, 금리 인상 시기 배경 등을 듣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FRB가 내놓는 정책을 예상할 수 있다. 특히 금융ㆍ투자 회사들은 FRB의 금리정책에 따라 수익률이 요동치기 때문에 그의 고액 강의를 기꺼이 들으려고 한다는 것이다.FRB에서 나오자마자 고용시장에서 일찌감치 품절됐을 법도 하지만 그는 아직 특정 금융ㆍ투자회사에 채용되지는 않은 상태다. 한 회 강연료만 20만달러에 달하는 그의 높은 몸값 때문이다. 이런 비용 부담 탓에 그를 회사에 앉히려던 스위스 최대은행인 UBS는 물론 미국의 대형 금융ㆍ투자회사 골드만 삭스도 버냉키 전 의장을 채용하려던 계획을 일단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획취재팀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