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13일 시작된 이동통신 3사의 영업정지가 반환점을 맞은 16일 오전. 테크노마트, 종로, 을지로 등 서울 주요 지역에 위치한 매장들은 소비자들의 발길이 끊겨 한산한 모습이었다.
[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시장도 죽었고 모두가 패자였다. 영세 상인들은 길거리로 내몰렸고 제조사는 내수 시장에 직격탄을 맞았다. 소비자들도 선택권을 박탈당했다. 지난달 13일 시작된 이동통신 3사의 영업정지가 반환점을 맞은 16일 오전. 테크노마트, 종로, 을지로 등 서울 주요 지역에 위치한 매장들은 소비자들의 발길이 끊겨 한산한 모습이었다. 'U+만 정상영업 중'이라는 포스터를 내걸고 단독 영업을 하고 있는 LG유플러스의 대리점들도 두세 명의 직원들만 자리를 지키고 있을 뿐 매장 안은 적막함이 감돌았다.발길이 끊긴 것은 사실 이통3사가 순차적으로 영업정지에 들어가서가 아니다. 이전처럼 보조금이 살포되지 못하면서 스마트폰 교체 수요가 현저히 줄었기 때문이다. 이날 LG유플러스도 보조금 상한선인 27만원을 넘기지 않고 정상적인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었다. 종로 인근의 한 LG유플러스 대리점에서는 출고가 86만6800원 갤럭시S5가 62만원에, 출고가 51만7000원 갤럭시 메가는 33만원에 판매하고 있었다. 각각 24만원, 18만원 수준의 보조금이 실리고 있는 것이다. 대리점 관계자는 "법정 보조금까지밖에 줄 수 없다"면서 "정책 자체가 그렇게 나온다"고 설명했다.판매점이 밀집해 있는 서울 강변 테크노마트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즐비한 판매점 사이에 나있는 통행로는 텅 비어 손님은 찾아볼 수 없었다. 직원들만 매장을 지키고 있을 뿐이었다. A 판매점 사장은 "영업정지 직후 2주 동안 휴가를 갔다가 오늘 처음 출근했다"며 "나뿐이 아니고 앉아있어도 할일이 없어 문 닫고 휴가 가는 사람들이 많다"고 토로했다. B판매점 직원도 "보조금을 못 주니까 비싼 새 스마트폰보다는 저렴한 중고폰을 찾는 사람이 많아 기존 가게들도 중고폰 가게로 전환한 곳이 많다"면서 "LG유플러스가 단독으로 영업하면서 번호이동 건수가 늘었다고는 해도 이곳에서는 전혀 그런 분위기를 느낄 수 없다"며 한숨을 내쉬었다.LG유플러스가 영업을 재개하면서 번호이동 건수가 급증하는 등 시장이 다시 과열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하지만 번호이동 현황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1월~올해 2월 LG유플러스의 평균 번호이동 순증 규모는 8053건, 올해 단독 영업기간인 4월5일부터 지난 14일까지는 8568건으로, 신규 가입자 평균 규모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시장 과열의 척도인 신규 가입자 규모가 평시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방송통신위원회 시장조사과 관계자는 "LG유플러스가 단독영업을 하는 상황이어서 요금을 인하하고 출고가를 낮추는 노력을 함께하며 번호이동 건수를 높이는 것은 크게 상관이 없다"며 "현재 시장 상황을 지켜보고 있으며 이통사들이 보조금 경쟁에서 벗어나 서비스 경쟁으로 하루빨리 전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