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운용사도 中채권 투자…불안한 홍콩 센트럴街의 희망

꽃보다 주식 3. 해외서 주식투자의 길을 묻다 [2]홍콩중국 상하이를 또다른 금융허브로 키우기...타격 불가피마카오 카지노株, 장밋빛 전망 속 지나친 급등 경계 목소리

홍콩 경제는 중국을 빼고서는 거론할 수 없다. 그러나 최근 중국이 상하이에 자유무역구를 출범시키면서 홍콩 경제가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홍콩의 먹구름 낀 미래를 반영하듯, 봄을 기대하고 찾아간 홍콩 센트럴에는 짙은 박무가 끼어있었다.

[홍콩=아시아경제 김소연 기자]‘아시아 금융허브’ 홍콩에서도 ‘센트럴’은 내로라하는 글로벌 금융투자사들이 밀집한 금융중심지다. 3월 중순, 봄 날씨를 기대하고 찾아갔지만 며칠째 해가 뜨지 않은 탓에 홍콩에는 짙은 박무가 자욱했다. 흐릿한 풍경이 마치 상하이 자유무역구(FTZ)를 견제하는 홍콩인들의 먹구름 낀 심리를 반영하는 듯 했다. 홍콩 경제는 중국을 빼고서는 거론할 수 없다. 건물 높이만큼 천정부지로 치솟는 홍콩 부동산 가격, 홍콩 상장법인 주가, 아시아 금융허브 지위에까지 어느 것 하나 중국의 손이 미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나 최근 이 같은 기류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상하이에 자유무역구를 출범시키면서 홍콩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국제 금융허브로 키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현지 전문가들은 홍콩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홍콩 최대 부동산 재벌, 리카싱(李嘉誠) 청쿵(長江) 부동산그룹 회장 역시 청쿵타워에 위치한 골드만삭스를 비롯해 수많은 금융투자사들이 아시아 거점을 상하이로 옮겨 공실률이 높아질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홍콩에서 만난 국내 금융투자회사 현지 법인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위안화 적격 외국인 기관투자자(RQFII) 자격이 새로운 틈새 먹거리로 주목을 받고 있다.◆홍콩 현지법인들, RQFII에서 투자기회 모색=RQFII(RMB Qualified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는 역외시장인 홍콩에서 거래되는 위안화인 ‘CNH’를 통해 중국 본토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 적격 외국인 기관투자자(QFII) 자격은 중국본토 시장에 투자하기 위해 외화자금을 중국 내에서 위안화로 환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RQFII는 또 기존 QFII가 본토 주식에 50% 이상 의무적으로 투자해야 했던 것과 달리 채권에 100% 투자할 수 있고 일일 자금 유출입이 가능해 펀드 환매와 설정이 자유롭다. RQFII 자격은 홍콩법인 중 운용업 라이선스를 획득한 곳들에게만 주어진다. 현재 국내 금융투자사 중 미래에셋자산운용만이 인가를 취득해 중국 국가외환관리국(SAFE)에 쿼터를 신청한 상태이고, KDB대우증권 등 다른 현지법인들도 RQFII 자격 취득을 준비 중이다. 김종선 KDB대우증권 홍콩법인장은 “RQFII를 통해 중국 상장채권 등에 투자할 수 있게 되면 일종의 아비트리지(차익거래) 기회가 생긴다”며 “홍콩 내 위안화(CNH) 채권, 중국 위안(CNY)채권 중 CNY로 발행되는 채권의 기대수익률이 크다”고 말했다.유재성 삼성자산운용 홍콩법인장도 “그동안 중국 채권은 중국 운용사들에게만 투자가 허용됐었는데 이번 RQFII를 통해 외국인 투자자들도 중국 채권에 투자할 수 있게 됐다”며 “QFII는 펀드 설정 및 환매까지 1주일이 걸렸는데 RQFII는 하루 만에 가능해 장단기 투자자 모두에게 적합하게끔 업그레이드 된 셈”이라고 평가했다. CNY가 아닌 CNH로 투자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CNH는 무역이 활발해 달러가 많은 홍콩에서 통용되는 위안화인만큼 중국본토 위안화인 CNY보다 가치가 높다. 따라서 CNH로 중국 본토에 투자하면 환차익을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중국이 CNH를 활용함으로써 홍콩에 다시 금융허브 역할을 부여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중국으로서는 해외자금이 달러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홍콩 위안화로 들어오면서 경제 개방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홍콩도 중국 진입통로로서의 기존 역할을 유지할 수 있어 나쁘지 않은 패다. 박명주 한국투자신탁운용 홍콩법인장은 “중국 정부는 RQFII를 통해 홍콩을 단계적 경제개방의 창구로 쓰려는 것”이라며 “중국은 시장을 전면 개방하기보다 단계를 밟아가려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홍콩의 역할이 커져 홍콩경제가 우려하는 것만큼 침체되진 않을 것”이라고 봤다. ◆마카오 카지노株 의견 엇갈려=국내 증시는 영종도 복합카지노리조트 개발로 카지노주에 대한 장밋빛 전망 일색이지만 홍콩 분위기는 달랐다. 홍콩 현지법인들 대다수는 마카오에 대해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면서도 지나친 급등에 조심스러워하는 입장이었다. 한국투신운용의 황성철 팀장은 “마카오가 중국인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중국과 근접한 헝칭(Hengqin Island)에 테마파크를 짓고 중국과의 비자 프로세스도 단순화하고 있다”며 “매 주말마다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2015~2016년까지 카지노를 증설할 정도로 수요가 많은데 이처럼 어닝이 확실한 산업이 어딨겠느냐”고 강조했다. 따라서 최근 조정을 받고 있어도 연말까지는 좋은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판단이다. 다만 카지노 증설이 완료된 이후 투자액 대비 수익이 높지 않거나, 중국 경착륙 이슈가 커지면 업황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경계했다. 이처럼 중국의 경제 개방이 가시화되면서 홍콩 현지법인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이들은 글로벌 금융상품을 소싱하는 역할과 함께 한국 금융투자상품의 해외 세일즈를 맡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법인들과 네트워크 쌓기에 주력하는 한편, 국내 상품의 해외판매 발판 다지기에도 힘쓰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은 지난 1월 ‘바이오위크’라는 행사를 통해 홍콩과 싱가폴의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국내 바이오기업 IR을 진행했고 KDB대우증권은 사모펀드(PEF)인 ‘사우스마운틴헤지펀드’를 분사해 트랙레코드를 쌓고 있다. 트랙레코드가 1년 정도 쌓이면 이를 바탕으로 해외 기관투자자 자금을 끌어모을 생각이다. 한국투신운용 역시 ‘아시아그로스펀드’ 수익률이 좋아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법인들에 세일즈 할 계획을 갖고 있다. 기동환 우리투자증권 홍콩법인장은 “코스닥 바이오기업들과 함께 1월에 홍콩, 싱가폴 등을 돌며 IR을 했는데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지면서 반응이 좋았다”며 “해외 기관을 대상으로 꾸준히 국내기업 IR과 미팅을 하면 결국 그런 부분이 홍콩법인 실적으로 나오는 것이고 국내 금융상품 세일즈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김소연 기자 nicks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김소연 기자 nicks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