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1000조 시대 '저소득층 이자갚기 바쁘다'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가계부채 1000조원 시대가 도래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특히 저소득층의 생계 부담이 가중돼 생계형 대출은 더욱 늘어나는 반면 소비는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경제주평을 통해 '가계부채의 특징과 시사점'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우리나라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해 3·4분기 약 992조원을 기록한데 이어, 2013년 한 해간 1000조원을 초과할 전망이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중도 2004년 이후 증가해 가계의 생계부담이 가중되고 소비를 위축시킬 것으로 관측된다.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에게 가계부채 부담이 집중되고 있다. 저소득층의 경우 금융대출가구 비중이 2012년 33.8%(140만가구)에서 36.2%(155만가구)로 늘었다. 저소득층의 경우 지난해 금융대출가구의 채무상환비율이 56.6%로 집계됐다. 지난해 42.6% 대비 크게 늘어난 수준이다. 중소득층 28.1%와 고소득층 26.2%에 비해서도 매우 높은 수준이다. 연간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대출잔액 비율은 2012~2013년 동안 276%에서 414.8%로 크게 증가했다. 가처분소득을 모두 원금상환에 사용해도 4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같은 기간 중소득층과 고소득층 금융대출가구는 연간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대출잔액이 각각 2.5%포인트, 1.6%포인트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원금 상환보다 이자 지급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소득층의 가처분소득 대비 이자지급 비중은 2012년 13.8%에서 2013년 21.0%로 급증했다. 소득 감소로 인해 많은 이자를 지불하면서 생활비 마련을 위한 부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중소득층은 7.9%에서 7.7%로 떨어졌다. 고소득층도 8.2%에서 7.6%로 하락했다. 또한 전 계층에서 원리금 연체가 이뤄지고 있었으나 연체의 이유는 계층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은 주로 자금융통차질로 인한 원리금 연체가 가장 많았다. 저소득층과 중소득층의 경우 소득감소가 주요한 원인으로 조사됐다. 이어 저소득층의 과반 이상이 대출기한 내 상환이 불가능해 연체율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소득계층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가계부채 대책이 필요하다"며 "저소득층의 경우 소득향상, 서민금융, 채무조정 및 신용회복과 같은 3각축 대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