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공공기관 본사 부동산이 대거 매물로 나온다. 공공기관 정상화 계획에 따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전력 등 부채감축 대상 주요 기관들이 정부에 본사 매각 방안을 보고했다.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이 기존에 수립한 계획을 다시 한 번 부각한 것이어서 새롭지는 않다. 공공기관들의 매각예정 부동산은 지난해 6월보다 2곳이 늘어난 수준이다.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이전대상기관으로 지난해 9월 최종 승인을 받았기 때문이다.이에 지방이전 대상 기관들이 보유한 매각대상 물량은 총 54곳, 246만4057㎡다. 여의도 면적(290만㎡)의 84%에 달한다. 공공기관들이 자체 계산한 매각 대상 부동산의 장부가격만 총 5조7101억원이다. 일반적으로 시가의 80% 가량을 장부가격으로 정하는 점을 감안하면 시가는 최소 7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특히 54개의 매각대상 부동산 중 집중 부채감축대상 기관 물량은 8개 부동산이 해당된다. 한국전력공사(감정가 2조153억원)를 비롯, ▲한국도로공사(추정가격 2973억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오리사옥(감정가 3524억원) ▲LH 정자사옥(감정가 2783억원) ▲광물자원공사(감정가 743억원) ▲한국장학재단(추정가격 92억원) ▲한국가스공사(추정가격 844억원) ▲한국석유공사(감정가 724억원) 등이다.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한꺼번에 집중적으로 부동산을 내놓으며 공급과잉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가 예견된다는 것이다. 공공기관의 현재 입지가 비교적 알짜인 경우가 많아 관심이 높지만 조기매각을 서두를 경우 시장에서는 가치가 평가절하될 수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본사를 팔아 새 사옥 건설비용으로 써야한다는 전제조건을 감안하면 부채줄이기라는 목표와는 사뭇 다른 사안이 슬쩍 끼워넣어진 셈이 된다. 공공기관의 재무상태를 개선시키려는 노력은 필요하지만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 주면서까지 부채감축 노력을 강조해야 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