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공항 결항 항공기 절반 줄인다

국토부, 제주국제공항 항행안전시설 크게 보강…활주로 운영등급 상향 영향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제주국제공항의 항행안전시설이 크게 보강됨에 따라 항공기 결항 편수가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국토교통부는 6일부터 제주국제공항의 활주로 운영등급을 현재 카테고리(Category)-I 착륙 시정치 550m에서 카테고리-II 300m로 상향 운영한다고 5일 밝혔다.활주로 운영등급 카테고리(CAT)는 항공기의 정밀 이·착륙을 지원해주는 항행안전시설의 성능에 따라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는 최저 시정거리로 구분된다. CAT 등급이 높을수록 착륙 시정거리가 줄어들고 결항률도 낮아진다. 이번 활주로 운영등급 상향으로 제주국제공항은 항공기 착륙 시정거리가 300m 이상만 되면 착륙할 수 있다. 따라서 안개 등 기상으로 인해 연평균 107편 발생하던 항공기 결항 편수가 연평균 57편으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 3년간 제주국제공항은 안개·해무 등 악기상 때도 항공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활주로 운영등급을 높이기 위해 착륙대 보강, 항행안전시설 성능보강 등을 준비해왔다"면서 "앞으로 항공기 결항으로 인한 승객 불편이 개선되고 경제적 편익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한편 국토부는 다른 공항의 활주로 운영등급도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김해공항은 용지매입, 시설 보강 등을 거쳐 2015년부터 CAT-I → CAT-II로, 김포공항은 CAT-III(a) → CAT-III(b)로 인천국제공항과 동일하게 상향 운영할 예정이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