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총파업 10만명 운집…철도파업 이후 최대

서울시청 광장 노동계 단체 및 철도파업 지지자들 대규모 상경 집회

▲ 집회 참석자들이 '멈춰라 민영화, 힘내라 민주주의'가 적힌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아시아경제 이혜영 기자] 철도노조 파업이 20일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파업 이래 최대 규모의 노동계 집회가 28일 오후3시 서울광장에서 열렸다. 민주노총은 이날 철도 민영화를 저지하고 정부의 노동탄압에 저항하기 위한 대규모 1차 상경 집회를 개최했다. 이날 집회에는 민노총 산하의 철도노조와 각 산별 노조 및 한국노총, 대학생 연합 단체, 사회·시민단체 소속 회원 총 10만여명(주최 측 추산)이 참석했다.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을 이용하는 시민과 집회 참가자들이 한데 섞이면서 이 일대는 극심한 혼잡을 빚었다. 서울광장 뒷편 세종대로와 플라자 호텔 주변 도로가 집회 참가자들로 가득 차면서 차량 운행은 전면 통제됐다. 경찰은 집회 통제와 수배된 철도노조원이 현장에 나타날 경우 즉각 체포 작전에 돌입하기 위해 1만3000여명을 투입했다. 서울광장 주변부터 청계천 일대와 서대문, 종로 거리 곳곳과 일부 건물 내부까지 경찰이 배치됐다. 경찰에 수배된 상태로 현재 민주노총에 피신 중인 김명환 철도노조 위원장은 영상으로 총파업에 대한 메시지를 전했다. 김 위원장은 "조계종을 중심으로 종교계가 중재에 나서는 상황에서 무엇이 그리 급했는지 국토교통부는 야밤에 수서발 KTX 면허를 발급했다"면서 "대화와 타협을 통해 파업을 해결하려는 것을 무시한 채 대국민 선전포고를 했다"고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또 "수서발 KTX (법인 설립)는 철도 쪼개기이며, 박근혜 대통령은 철도 민영화 반대 공약에 대한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28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열린 민노총 총파업 결의대회 현장. 이날 집회에는 조합원 및 철도파업 지지자 10만여명이(주최 측 추산) 참석했다.

신승철 민주노총 위원장은 "정부는 철도, 의료, 교육 등 모든 공공재를 민영화 해 이기적인 경쟁 속에 국민을 밀어넣고 있다. 정부가 아닌 정부, 대통령이 아닌 대통령에 맞서 투쟁해 나가자"고 주장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은 가난과 싸우는 것이 아니라 가난한 사람과 싸우며 자본의 탐욕을 키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과 함께 양대노총의 축을 이루는 한국노총 조합원 1000여명(주최 측 추산)도 집회에 참석했다. 문진국 한국노총 위원장은 "세계 어느나라나 정권에서도 노동 운동의 심장부에 공권력을 투입한 사례는 없다"며 "대한민국을 노동운동 후진국으로 전락시키는 만행을 저지르고 있다"고 성토했다. 또 "노동운동을 탄압하는 정권에 맞서기 위해서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결코 둘이 될 수 없다"며 연대투쟁에 힘을 실었다. 조계사에 피신 중인 박태만 철도노조 수석부위원장의 아들 박광민씨는 집회에 참석해 "철도파업을 한 사람이 잘못이라면 파업을 하게 만든 사람도 잘못"이라며 "정부는 항상 책임을 노동자와 국민에게 전가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하며 집회 참석자들에 대한 지지를 보냈다. 권영국 민변 노동위원장은 "갖춘 것이 아무 것도 없는 실체없는 회사에 면허를 발급해 준 것은 코미디"라고 쏘아붙였다. 정동영 민주당 상임고문을 비롯한 김기준, 은수미, 정청래, 전순옥 의원과 심상정 정의당 의원 등 야당 의원들도 집회에 참석했다. 한편 집회 참석자들의 거리 행진을 막기 위해 경찰이 광장 뒷편 일부 도로에 폴리스라인을 설치하자 이에 항의하는 조합원들과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동화면세점 옆에서는 대한민국고엽제전우회를 비롯한 일부 보수단체 회원들이 모여 민노총 집회를 규탄하는 시위를 벌였다. 민노총은 정부위원회 참석을 전면 중단하고, 다음달 9일과 16일 2·3차 총파업 결의대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또 박근혜 대통령 취임 1주년인 2월25일까지 투쟁을 확대·강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이혜영 기자 itsm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혜영 기자 itsm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