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尼 자바섬, 포스코 '글로벌 쇳물' 흐른 날

-동남아 최초 일관제철소 가동-30개월만에 크라카타우포스코 화입식..계열사 역량 총동원 年 300만t 생산해 내년 영업흑자 목표

정준양 포스코 회장이 23일 현지시각 인도네시아 찔레곤시에서 열린 일관제철소 화입식에서 용광로에 불을 붙이고 있다. (사진제공=포스코)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포스코가 제철보국의 이념으로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해왔듯이 크라카타우포스코도 인도네시아에서 같은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23일 인도네시아 자바섬 찔레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수도 자카르타에서 서쪽으로 100㎞ 거리에 위치한 이곳에서 크라카타우포스코 일관제철소의 성공적인 가동을 알리는 '화입식'이 열렸다. 화입식은 포스코 역사상 최초의 해외 제철소이자 동남아 최초 일관제철소가 본격적인 쇳물 생산에 돌입한 것을 의미한다.  포항 영일만에서 첫 쇳물을 뽑아낸 지 40년 만에 이뤄낸 쾌거다. 이날 준공식에는 정 회장과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 김재홍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등 주요 관계자와 고객사, 지역주민 500명이 참석했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포스코와 인도네시아 국영철강사 크라카타우스틸이 7대 3 비율로 합작했으며 제선ㆍ제강과 후판공정을 갖추고 있다. 연간 슬라브 180만t과 후판 120만t을 생산한다. 무엇보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정 회장 5년 재임 기간에 포스코 숙원사업인 해외 일관제철소의 꿈을 실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임한 정 회장이 글로벌 철강사 도약을 위한 해외 진출 전략을 강조해왔고, 첫 결실을 인도네시아에서 맺은 것이다.  더군다나 이번 제철소 건설에서 포스코 계열사의 역량이 총집결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포스코건설은 제철소에 대한 종합 엔지니어링과 건설을 총괄했고, 포스코에너지는 제철소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200㎿ 기력발전소 건설을 담당했다. 포스코ICT는 EIC 엔지니어링과 정보기술(IT)통합시스템을 구축했고, 포스코켐텍은 석회소성로 및 화성부산물 처리설비를 맡았다. 또 포스코엠텍은 쇳물 생산에 필요한 알루미늄탈산제 공장을 설립했고, 대우인터내셔널은 현지에서 생산되는 철강재의 해외 수출과 내수판매를 맡는다. 여기다 국내 248개 중소기업이 건설에 참여 의미를 더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40여년 전 처음 포항제철소를 건설할 당시에는 외국 기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지만 이제는 자체 역량으로 해외 제철소를 건설하게 됐다"고 말했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가동원년인 내년부터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내수시장 판매망을 적극 확보해 내년 슬라브 150만곘과 후판 60만곘을 인도네시아 내에 판매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는 연평균 6% 이상 고성장하고 있지만 철강 수요 1250만t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한다. 연간 1인당 철강소비량도 한국에 크게 못 미치는 40㎏에 불과해 철강소비 잠재력 또한 매우 크다. 아울러 포스코는 이후 일관제철소 생산이 본궤도에 오르면 동남아 시장에 적극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베트남, 말레이시아, 미얀마 등 주변 경제구역 내에는 품질과 원가경쟁력을 갖춘 제철소가 없어 성장 가능성이 대단히 큰 상황이다.  특히 포스코는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 가동을 통해 중국-베트남-인도네시아-인도를 연결하는 철강벨트를 완성하고 동남아시장을 적극 공략해 명실상부한 세계 최강의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철강사로 지속 성장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정 회장은 "지난 30개월간의 일관제철소 건설은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한국의 기술과 인도네시아의 우수한 인적자원이 힘을 합쳐 성공할 수 있었다"면서 "인도네시아 철강산업과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승미 기자 askm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