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약세로 경상적자에 직면한 日 정부·중앙銀 선택 정책대안은?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10 월 일본의 경상수지가 9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선 것은 세가지 요인 때문이다. 원자력발전소 가동 정지에 따른 석유 화력발전소 가동을 위한 원유 수입과 수출용 전자 부품의 수입 증가, 그리고 엔화 약세가 그것이다.엔화 약세는 일본의 수출을 늘리지만 동시에 수입도 늘리고 있어 아베 신조 총리 정부의 양적 완화 정책의 지속성에 의문을 던지는 요인이 되기에 충분하다.재무 성이 9 일 발표 한 10 월의 국제 수지 속보에 따르면, 해외의 물건이나 서비스, 투자 등의 거래 상황을 나타내는 경상 수지가 1279 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경상 수지 적자는 1 월 이후 9 개월 만이다.무역·서비스 수지는 1조 4055 억엔의 적자로 전년 동월보다 적자규모가 6388 억 엔 불어났다.이는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수출입차인 무역 수지 적자폭이 6406 억엔 불어나 1조919 억 엔의 적자를 기록한 데 따른 것이다.일본 경제는 한마디로 교역에서 죽을 쑤고 있는 셈이다. 엔화 약세로 수출이 늘어날 것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두껑을 열어보니 수출이 늘어난 것보다 수입이 더 늘어난 것이다.수출은 자동차와 화학제품에 힘입어 17.9 % 증가한 5 조 8332 억엔을 기록했다.그러나 수입은 높은 수준의 엔화 약세의 직격탄을 받아 수출을 웃도는 증가세를 보였다. 원유 등 연료 수입 이외에 전자 부품도 50 % 증가해 수입은 28.2 % 증가한 6 조 9251 억엔을 기록했다.해외 투자에서 얻은 이자와 배당금 등의 소득 수지는 흑자액이 9.1 % 증가한 1 조 3615 억 엔을 기록했다.10월 경상수지는 결국 물건을 팔아 번 돈을 엔화 약세로 불어난 발전용 연료비로 다 까먹어 손실을 본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그렇다면 경상수지 적자와 관련해 일본이 앞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정책대안은 무엇일까?적자를 용인할 지 않알 지는 두고 볼일이지만 흑자로 전환하겠다면 연료비 수입을 줄이는 한편, 엔화를 적정 수준까지 평가절상하는 것 외에 도리가 없다.연료비 수입을 줄인다는 것은 곧 화력발전을 줄이는 것이며 이는 원전 재가동과 직결된다. 풍력과 태양광,지열 등을 신재생에너지로 보완한다고 하더라도 세계 3위의 경제대국 일본의 에너지 소비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원전가동은 불가피한 선택이 될 수밖에 없다.엔화 평가절상은 일본의 대규모 양적완화를 통한 디플레이션 탈출, 미국의 재정 및 금융정책과 맞물려 돌아가는 사안이어서 미래를 점치기는 힘들다. 과거 일본의 엔화는 달러당 100엔에서 200엔으로 고무줄 늘어나듯 하락했다가 79엔대까지 급등하는 모습을 연출했던 만큼 향후 행보를 예상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전문가들은 일단 내년 상반기까지는 엔화의 소폭 절상을 점친다. 아베 정부는 2년 내 소비자물가상승률 2% 달성을 위해 본원통화를 두 배로 늘리는 한편, 내년 4월 말부터 2015년 3월 말까지 월 자산매입 규모를 7조엔에서 10조엔으로 늘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와 있다. 돈이 많이 풀리면 돈 가치가 하락하게 마련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내년 4월 통화정책회의 때까지는 최저 104엔까지 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 중앙은행 총재는 지난 7일 도쿄 도내 강연에서 “앞으로 2%의 물가상승 목표 달성에 필요한 경우 조정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혀 추가 금융 완화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했다.블룸버그는 일본이 내년에 금융완화 정책을 펴더라도 지난 4월 연출한 '구로다 쇼크' 재현을 기대할 수 없다고 전했다.즉 급격한 엔화 약세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바꿔 말하면 일본 중앙은행 정책에 실망한 투자자들이 엔화를 사기 시작해 상반기에는 100엔까지 반등할 것으로 블룸버그통신은 예상하고 있다.문제는 그 다음이다. 만약 일본 정부가 하반기에도 세계 경제가 회복되는 가운데서도 현재와 같은 성장 정책을 유지한다면 엔화는 급격히 약세로 돌아서 달러당 110엔대까지 갈 것으로 JP모건 일본의 환율 및 통화조사 부문 사사키 토루 대표는 블룸버그에 밝혔다.이래 저래 구로다 총재의 머리는 아프다.박희준 기자 jacklon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박희준 기자 jacklondon@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희준 기자 jacklon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