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동차 시장 뚫으려면 독일 車와 싸워라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글로벌 자동차업계가 독일의 중국 고급 자동차 시장 독점 구도를 깰 수 있을까.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중국 자동차 구매자들에게 '럭셔리'란 '독일산'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독일이 독점하다시피 해온 중국 고급 자동차 시장의 구도를 깨는 게 글로벌 자동차업계의 숙제라고 보도했다.시장조사업체 IHS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고급 자동차 시장은 연 400억달러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그 중 70% 이상을 아우디, BMW, 다임러의 메르세데스 벤츠가 차지하고 있다. 아우디의 점유율이 31%로 가장 높고 BMW(25%), 메르세데스 벤츠(16%) 순이다. 재규어 랜드로버(6%), 렉서스(5%), 볼보(4%), 캐딜락(3%), 포르쉐(3%), 인피니티(1%), 기타(6%)가 그 뒤를 잇고 있다.WSJ는 제너럴모터스(GM)의 캐딜락, 타타의 재규어 랜드로버, 중국이 인수한 스웨덴 볼보 등이 최근 1년 사이에 중국 내 공장 설립에 수십억달러의 돈을 쏟아붓겠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전했다. 중국 고급 자동차 시장 진입을 정조준하며 독일 브랜드와의 싸움에서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WSJ는 자동차업체들의 이러한 노력에 2015년에는 중국 내 고급 자동차 수가 50만대 이상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전문가들은 중국 내 고급 자동차 판매 대수가 올해 140만대에서 2020년 300만대로 급증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미국 230만대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했다.돈 많은 중국인들의 독일 브랜드 자동차를 향한 욕망은 강한 편이다. 그러나 개별 브랜드별로는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어서 글로벌 자동차업계가 틈새를 노릴 만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특히 독일 브랜드의 고급 자동차를 몰아 본 경험이 있는 젊은 층 부자들은 기존의 것과 차별화한 두 번째, 세 번째 자동차 구입을 희망하고 있어 독일 차와 경쟁하려는 다른 브랜드들에 기회를 안겨 주고 있다.다만 독일 3대 고급 자동차 브랜드의 중국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의 15%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이들도 공격적으로 중국 내 생산과 점유율 확대에 나서고 있는 점은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이 독일 브랜드와 경쟁하기가 호락호락하지 만은 않을 것이라는 걸 말해준다.마르코 게리츠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이사는 "다른 브랜드들이 중국 고급 자동차 시장에서 성공해야 하는 일은 '대세를 따르는' 소비자들에게 매력을 어필하는 것"이라면서 "중국인들은 신차를 고를 때 독일 3대 브랜드를 먼저 선택하려 할 것이고, 적어도 이보다 낮은 급의 브랜드를 선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