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미FTA 발효 후 자동차 수출 증가'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미국 자동차의 한국 수출이 증가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마이클 프로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워싱턴 DC에서 개최한 '최고경영자(CEO) 협의회 연차총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수출 증가는 확실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협정 이전에 한국에 대한 자동차 수출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설명하기 까다로운 부분이 있지만 (발효 이후) 50% 이상 증가했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이른바 '자동차 빅3' 업체들의 수출이 상당 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프로먼 대표는 "관세가 내려가면 수출은 이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면서 "한국에 대한 무역적자가 증가했는지 모르지만 같은 시기에 FTA 이행법안이 처리된 콜롬비아와 파나마를 상대로 한 무역흑자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한미 FTA로 인한 통상이익을 주장하고 있으나 정치권 안팎에서는 협정에 대한 비판론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이날 행사를 진행한 레베카 블러멘스타인 WSJ 부편집장은 프로먼 대표에게 "한미 FTA가 수출을 크게 늘렸다고 주장하지만 일부 기업은 그렇지 않다고 반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시 캡터(민주ㆍ오하이오) 하원의원은 최근 하원 전체회의에서 의사 진행발언을 통해 "한미 FTA로 인해 미국은 4만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잃었다"면서 "한국에 대한 수출도 발효 이후 약 8억달러나 줄었다"고 주장했다. 캡터 의원은 특히 협정 발효 이후 한국에 대한 자동차 수출이 한 달에 44대 늘어나는 데 그쳤으나 한국산 자동차 수입은 2만대나 늘었다고 지적했다.지연진 기자 gyj@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