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국감]'기상청에 쓰나미 전문가 1명도 없어'

김성태 의원 '영화 '해운대'처럼 속수무책 당할 수밖에 없다'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기상청에 지진해일(쓰나미)을 연구하는 박사급 전문가가 한 명도 없어 영화 '해운대'와 같이 지진해일이 발생할 경우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다.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새누리당 간사 김성태 의원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상청에는 지진해일을 연구하는 박사급 전문가가 없고, 지진해일을 전공한 석사급 인력이 한 명 있지만 전공분야와 거리가 먼 '국제협력 및 연구개발(R&D)'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김 의원은 "기상청은 '쓰나미 발생이 흔한 일도 아니고 한반도의 지진해일과 관련된 연구는 국립기상연구소에서 담당하고 있어 문제 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라며 "하지만 국립기상연구소에 확인한 결과 지진해일을 전공하거나 연구한 박사급 전문가는 물론 석사급 인력도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그는 "지난달 4일 일본 도쿄 근해에서 규모 6.9의 강진이 발생했는데 당시 일본 기상청은 '쓰나미 우려는 없다'고 밝혔고 우리 기상청도 '국내에는 영향이 없다'고 발표했다"면서 "그러나 우리 기상청은 사실상 쓰나미 우려에 대한 자체적인 연구와 분석 없이 일본 기상청에서 실시간으로 보내준 보도자료 정도를 참고해 우리 국민에게 소식을 전달한 수준이었다"고 비판했다.김 의원은 "동해안에서 대지진이나 쓰나미가 발생한다면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에 비해 높은 인구 밀도와 울산, 부산 등 동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원전으로 인해 후쿠시마 사태보다 더 큰 피해를 불러올 수 있다"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당시 일본 기상청은 지진해일을 연구하는 수십명의 석·박사급 인력을 보유한 상황에서도 쓰나미 도달시간을 예측하는 데 실패했다"고 전했다.기상청은 2006년 울릉도 연안에 설치해 둔 '해일파고계'와 주변지역 지진 발생 시 해일 도달시간과 파고의 높이만을 예상해 알려주는 '지진해일 DB'에만 의존해 한반도 쓰나미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