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이 지난달까지 10개월 연속 1%대에 머물렀다. 오늘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니 그렇다. 8월 소비자물가가 7월에 비해 0.3% 올랐고, 지난해 8월에 비하면 1.3% 오르는 데 그쳤다. 통계숫자로 보면 물가안정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서민들은 고개를 갸웃거린다. 물가가 오르는 것 투성이인데 통계는 왜 그렇게 나오는지 알 수 없다. 요즘 시장에 가 보면 추석을 앞두고 채소ㆍ나물ㆍ과일 등 농산물 가격이 많이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지난 여름 전국에 걸친 장기간의 폭염과 생산지의 국지성 호우로 인한 농작물 피해 탓이다. 통계청 통계로도 1년 전에 비해 호박은 64%, 토마토는 48%, 배추는 43%나 소비자가격이 올랐다. 남ㆍ동해안 양식장 적조 피해로 수산물 가격도 불안정하다. 서울우유가 지난달 30일 우윳값을 ℓ당 220원 인상한 것을 시작으로 우유와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식품의 가격 상승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셋값도 전월 대비 0.4%나 올랐다. 추석 이후에는 서울과 수도권의 택시 기본요금이 500~700원 오르기로 돼 있다. 1%대 소비자물가 통계숫자는 먼 나라 얘기 같다. 마침 어제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가 오히려 피부에 와 닿는다. 지난달 중순 전국 성인남녀 10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보니 올해 상반기 체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5.4%에 달했다고 한다. 통계청 소비자물가상승률의 4.2배에 이른다. 특히 자신을 저소득층이라고 생각하는 가구의 체감물가가 5.7%로,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가구의 체감물가 5.2%보다 높다. 지수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커도 너무 크다. 정부 물가당국은 결코 통계숫자만 보고 마음을 놓거나 정책을 펴서는 안 된다. 최근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향후 1년간 물가에 대한 소비자들의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지난달 3.0%로 나타나 4개월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물가당국은 시중 물가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서 추석 대목을 겨냥한 부당한 물가인상을 막아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서민물가 추이를 보다 정확히 보여 주는 보조지표 개발과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혁을 통한 유통비용 축소도 필요하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