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김승미 기자]청와대 2기 비서진이 5일 출범하면서 꼬일대로 꼬인 정국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민주당이 김기춘 비서실장과 박준우 정무수석을 향해 "구시대 인물", "부적합 인사"라며 반발하고 있지만 인사에 대한 평가만으로 정국이 더 꼬일 것이라고 단언하기 어렵다. 박 대통령이 김기춘 실장을 전격 기용한 데서보듯 현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우회나 유화책을 택하지 않고 정공법을 선택할 경우에는 청와대와 여당과 야당간에 강(强) 대 강(强) 대치로 비화될 가능성이 높다. 박 대통령과 김기춘 실장,새누리당의 교감이 어떻게 이루어지냐가 정국에 중대한 변수가 된다. 정치권에서 김 실장의 파괴력은 전임 허태열 실장을 월등히 앞선다. 3선 의원, 법무부장관을 지냈고 지난 대선때 박 대통령을 도운 원로그룹 '7인회'출신이다. 박 대통령과는 선친때부터 연을 이어왔다. 검사시절인 1974년에는 육영수 여사 살해범인 문세광 사건을 조사하기도 했고 박정희 전 대통령 말년에는 청와대 비서관을 지냈다. 정수장학회 장학생들의 모임인 '상청회'의 회장도 맡았다. 김 실장(74)은 연배로는 정홍원 총리(70), 황우여 대표(67)보다 많은 내각의 최고령자이다보니 당장 왕(王)실장으로 불린다. 청와대와 내각은 물론 여당까지 컨트롤할 수 있다. 박심(朴心)을 읽는게 아니라 박심을 움직이기도 할 정도다. 야당으로서는 초반 기선제압에 집중하는 분위기다. 그의 과거를 아킬레스건으로 삼고 있다. 김 실장은 검사시절이던 1972년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유신헌법 초안을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장관이던 1992년에는 대선을 앞두고 부산 초원복국집에서 지역관계기관장들과 모여 김영삼 당시 여당 후보의 선거대책회의를 가지던 중 야당 정주영 후보측 선거운동원들에 도청돼 공개되면서 파문을 일으켰다. 당시 "우리가 남이가", "영도 다리 빠져죽자" 등 지역감정 조장발언은 지금도 회자되고 있다. 2004년 한나라당 법사위원장 때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에 적극 참여했다. 이 때문에 민주당에서는 "불에 기름을 끼얹는 격"(대변인 논평), "유신 공안의 추억? 한여름 납량특집 인사? 국정원 국조 물타기 인사? 소름끼친다"(박영선 법사위원장 트윗) 등 원색적 표현이 쏟아졌다. 김한길 대표도 김 실장의 예방을 받은 자리에서 "내가 과격한 사람은 아니지만 만만하게, 호락호락하게 봐서는 안 된다"며 엄포를 놨다.박준우 정무수석에서는 대체로 의외라면서도 부정적 평가가 주를 이룬다. 그는 30년간 외교관 생활을 하고 외교부 내에서는 대표적인 '아주통'으로 통한다. 국회 대관(對官)업무만 했고 정치권과의 교류, 네트워크는 전무하다. 운신의 폭이 좁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한 정치전문가는 "박 대통령이 생각하는 정무수석은 과거와는 많이 다를 것"이라며 "국정원 국정조사와 같은 당면 현안은 정무수석의 목소리보다는 새누리당 지도부에 상당부분 맡기고 여기에 이정현 홍보수석이 현안을 맡는 선에서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권 일각에서는 박 수석이 협상력,외교력을 발휘해 이정현 수석의 부족함을 보완하면 대여(對與)와 대야(對野)관계를 새로 만들어갈 수도 있다는 기대도 한다.정국해법의 첫 단추는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간 회담이다. 2기 비서진에 주어진 첫 과제이기도 하다. 현 정국의 실타래를 풀기위해 황우여 대표는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 3자 회동을, 김한길 대표는 박 대통령과의 단독회동을 제안한 상태다. 현재는 3자 회동이 유력하나 김한길 대표는 담판회동을 고수하고 있다. 김 대표는 김 실장을 만난 자리에서 "영수회담 제안에 대해 전날(4일)까지 답을 달라고 했는데, 겨우 답이 없다는 말만 전달하러 왔는가"라고 언성을 높였다는 후문이다. 민주당은 허태열 비서실장 시절이던 지난 4월과 5월 박 대통령과 당 대표간 회동을 추진했다가 청와대가 회동추진을 언론에 알린데 대한 반발로 회동이 번번히 무산됐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양자 혹은 3자 회동이 무산되거나 회동에서서 별다른 성과가 없을 경우 민주당은 다시 4가지 요구안 관철에 집중할 것"이라면서 "이에 대해 제대로 성의 있는 조치가 이루어지 않으면 아마 정국은 더 복잡하게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김승미 기자 askm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경호 기자 gungho@정치경제부 김승미 기자 askm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