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기획 검색포털 비교시리즈 3. 인터넷 생태계<H3>역할 커진만큼 인터넷 생태계 동행 성장 비전 필요통일된 브랜드와 고객 충성도 자산 더 키워 글로벌화 해야</H3>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 네이버가 국내 포털 시장에서 절대적 지위를 차지하면서 인터넷 기업 맏형으로서의 책임론도 부상하고 있다. 네이버 수익의 원천인 검색이 공공재적 성격이 강한 만큼 인터넷 생태계 발전을 위한 책임과 의무가 동반돼야 한다는 것이다.1999년 벤처에서 출발한 네이버의 현 시가총액은 14조원대(코스피 14위). 네이버는 이를 기반으로 수많은 M&A(인수합병)를 성사시켰다. 2006년 검색업체 첫눈을 인수한 이후 2008년부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인 큐브리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업체 미투데이, 여행정보업체 윙버스 등을 잇따라 품었다. 무엇보다 인력 확보라는 목적이 컸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인력풀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좋은 인재를 구하는 방법으로 네이버가 M&A를 동원한 측면이 크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라인'의 개발에 첫눈 출신들이 큰 역할을 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라인 사업을 총괄하는 신중호 라인플러스 대표는 첫눈의 핵심 개발자였다. 네이버 M&A를 '인력M&A'로 평가하는 것도 그래서다. 물론 부정적인 평가도 있다. 첫눈 인수 후 1년 만에 서비스를 중단하자 네이버가 잠재적 라이벌을 사들여 폐기처분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인 알토스벤처스의 김한준 대표는 "인수기업은 M&A를 통해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강화, 피인수기업은 목돈을 챙겨 또 다른 도전에 나선다"며 "네이버도 역량있는 벤처를 지속적으로 인수해 파이를 키워내는 방향으로 인터넷 생태계 발전을 이끌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구글도 M&A를 통해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2005년 모바일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2006년 동영상 공유사이트 유튜브, 2007년 온라인 광고회사 더블클릭, 2009년 모바일 광고회사 애드몹을 인수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모토로라를 125억달러(13조5000억원)에 사들였다. 구글은 M&A 기업의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네이버와는 다른 '기술M&A'를 유지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구글도 M&A 과정에서 잡음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2010년 온라인여행업체인 ITA를 7억 달러에 인수할 때는 중소업체 영역을 침해한다는 쓴소리를 들었다. 최근에는 이스라엘 내비게이션 스타트업 '웨이즈' 인수전에 뛰어들면서 구설수에 올랐다. 애플과 페이스북이 인수전 줄다리기를 하는 가운데 구글이 뒤늦게 1조원이 넘는 뭉칫돈을 제시, 경쟁자의 발목을 묶기 위한 꼼수를 부렸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세계적 검색엔진인 구글의 시가총액은 3010억달러(약 334조 5000억원)다. 시총만 놓고 보면 네이버는 벤처기업 수준이다. 하지만 국내 검색시장 점유율(네이버 75%, 구글 5%)에서는 얘기가 다르다. 세계를 석권한 구글도 점령하지 못하는 네이버라는 브랜드 가치가 있다. 일각에서는 네이버가 이러한 브랜드 가치를 활용해 벤처 생태계 활성화에 접근하는게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벤처기업 아이디인큐를 운영하는 김동호 대표는 "네이버는 수백여개의 자잘한 서비스를 운영하면서도 통일된 브랜드 감성과 사용자경 험을 잃지 않는 능력을 가졌다"며 "그 색깔을 잃지 않으면서도 다양성을 포용하게 된다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다양성을 포용하는 방법으로 내부 서비스의 적극적인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개방과 외부회사 지원을 통한 생태계 조성 등을 꼽았다. 네이버는 최근 인터넷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상생안을 발표하고 벤처 창업과 콘텐츠 창작 활성화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상생안 발표가 단순히 쇼나 미봉책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다. 중소 벤처 업계에서는 3가지를 제시했다. 최대한 다양한 API 공개, M&A 성공모델 만들기, 중소기업과의 동반 해외진출이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알람몬' 개발사로 유명한 말랑스튜디오의 김영호 대표는 "라인 등 네이버가 가진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유망 중소업체들과 동반 진출한다거나 그동안 쌓아온 해외사업 노하우를 공유하는 것이 상생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조유진 기자 tint@<ⓒ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조유진 기자 tint@ⓒ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