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들의 사생활-7장 총소리 (134)

그녀는 가볍게 한숨을 한번 쉰 다음 계속해서 말했다. “가이드가 <한국군 증오비>에 나오는 그 글을 다 읽어주고 나자 우리 아버진 그 앞에서 그만 털썩, 자기도 모르게 주저앉고 말았다고 해요. 자신이 평생 믿어 왔고, 자부심을 가지고 살아왔던 것이 하루아침에 모래성처럼 무너져 내리는 기분이 드셨던 거죠.”하림은 이마를 잔득 찌푸린 채 그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가슴이 턱 막혀오는 기분이 들었다. 독한 소주라도 한잔 마시고 싶었다.“우리 아버진 비록 그 현장에 있진 않았지만 그때 그 이야기는 들었다고 해요. 그리고 그 비슷한 일들이 여러 군데서 일어났지만 다들 전쟁 중이라 그냥 지나쳐갔다고 해요. 베트콩이라 불리는 자들은 아무리 죽여도 상관없는 적이었으니까요. 지금 이라크에서 어린 미군 아이들이 저지르는 일과 다름없었죠. 다들 무지했고, 정신이 없었으니까요. 그런데 이제 나이가 들어 말짱한 정신으로 자신들이 싸웠던 곳으로 다시 찾아갔고, 바로 그 비석의 끔찍한 내용을 보아야했던 것이죠. 처음엔 아버진 그게 누군가가 조작한 거라며 믿지 않으려 하셨대요. 그러다가 그들이 모두 베트콩과 관련된 적군이라고 하다가 결국은 민간인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셨죠. 우리 아버진 선량하고 원칙적인 분이라 그 후 무척 괴로워하셨답니다. 술이라도 자시면 혼자, 우리가 그때 몹쓸 짓을 저질렀어, 하곤 중얼거리곤 하셨죠. 생각해보세요. 자기 청춘의 자랑스런 추억들이 있을 수 없는 죄악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말이예요. ”하림은 가볍게 고개를 끄덕였다. 실재로 이라크 전쟁에 참가했던 많은 미국 군인들이 지금도 그런 정신 분열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하는 이야기를 하림 역시 들은 적이 있었다. 그런 사람 중에는 자살자도 많다고 했다.“그러니까 우리 아버지 속엔 두 개의 추억이 공존하며 싸우고 있는 거지요. 하나는 맹호부대 노랫말처럼 베트남의 자유통일 위해서 죽은 전우들과 열심히 싸웠던 그 시절의 자랑스런 모습이고, 다른 하나는 남의 나라의 이상한 전쟁에 뛰어들어 민간인을 학살한 추악한 자신들의 모습이었죠. 그리고 자신들이 필사적으로 대항해 싸웠던 그 호치민이 지금은 아무도 그를 적이라 생각하지 않고 도리어 베트남 사람 모두가 아저씨라 부르며 존경하는 베트남 민족의 지도자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죠. 우리나라 김구 선생처럼 말이예요. 그러니까 당시 베트남의 타락할 대로 타락한 티우 정권을 위해 피 흘리며 싸웠어야할 이유도 없었던 거죠. 그것은 미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벌어진 미국의 전쟁이었지, 우리의 전쟁은 아니었으니까요. 베트남 전에서 우리가 얻은 것은 아버지의 말대로 경제 개발을 위해 밑거름이 된 돈이었을 뿐, 명예도 자유도 아니었다는 걸 뒤늦게 깨달았던 거죠. 그러니까 잘 사는 대한민국의 현재를 있게 하기 위해서 베트남은 달러박스가 되어준 셈이었죠. 그게 아버지의 모순된 두 가지의 정서였어요. 그래서 한편으론 아직도 한손에 총을 들고 계곡에 올라가 구령소리를 지르고 하시지만 또 한편으론, 우리가 그때 몹쓸 짓을 했어, 하고 혼자 자책하며 괴로워하는 이중적인 모습. 그게 자아 분열증, 즉 정신병 치료를 받지 않을 수 없을만큼 심각하게 진행된 것은 그 후의 일이었어요.”열심히 이야기 하느라 그녀의 얼굴은 상기되어 있었고, 입술은 바삭 타있었다.“차 한잔 더 드릴까요?”하림이 말했다.“됐어요. 물이나 한잔 주세요.”그녀가 말했다.글. 김영현 / 그림. 박건웅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영현 기자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