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농자재 R&D 예산 1000억원 확대

'농자재산업 종합대책'발표..친환경비료 개발에 5년간 500억원 투자[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자재 연구개발(R&D) 예산을 2017년 1000억원까지 확대한다. 또 수입대체를 위한 신물질농약, 친환경 비료 개발에 5년간 500억원을 투자한다. 농자재 비용 증가에 따른 농업인의 부담을 줄이고, 농자재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이다.농식품부는 5일 이 같은 대책을 담은 '농자재산업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농자재 비용은 2005년 764만원에서 2011년 968만원까지 증가했다. 농가의 부담이 커짐에 따라 정부가 지난해 11월부터 올 3월까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마련한 대책을 강구했다.농식품부는 우선 농기계 공동이용 활성화를 추진한다. 지난해 기준 전국 250곳에 있는 농기계임대사업소는 2016년까지 400곳으로 확대하고, 같은해 기준 농기계은행은 692개에서 800개로 늘릴 방침이다. 또 사용시기가 다른 원거리 지역간 공동이용 협약을 체결해 지역별로 순차적으로 농기계를 이용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비료와 농약, 에너지 사용량 줄이기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올해 2690억원을 지원해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절감시설 확대, 신축온실 신규지원 및 기존온실 개보수 등을 추진한다. 또 유기질 비료 지원에 지난해보다 100억원 많은 1450억원을 투자한다.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기 위한 지원이다.농자재 유통구조도 바꾼다. 2015년까지 중부, 호남, 영남 등 3개 권역에 '농자재유통센터'를 설립하고, 시·군 단위에는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한 '농자재 전문스토어(자재센터)'를 설치해 복잡한 농자재 유통구조를 단순화시킬 방침이다. 이를 통해 농자재 가격인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기대했다.농자재 산업에 대한 R&D 지원도 대폭 늘린다. 농식품부는 "우리나라 농자재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고효율·친환경·수출전략형 농자재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농자재 관련 R&D 투자 규모를 2017년까지 10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원자재 수입의존도가 높은 화학비료와 농약의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5년간 500억원을 투자한다. 현재 화학비료의 원자재 수입의존도는 100%이고, 농약은 88%이다.농식품부는 이번에 마련된 대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농자재 관련 협의회를 수시 개최해 관련 부처간 업무협조를 이끌고, 전문가 및 산업계의 의견을 조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세종=이윤재 기자 gal-ru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윤재 기자 gal-ru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