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택시 번호 단일화가 '창조경제'?

교통연구원 연구성과 발표회서 제기.. 생활밀착형 정책 활성화 필요성도[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콜택시 전화번호 단일화와 교통안전규제 개선 등이 교통분야 생활밀착형 창조경제의 모델로 제시됐다. 한국교통연구원이 19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호텔 거문고홀에서 '창조경제·국민행복시대, 교통의 역할과 방향'이라는 주제로 가진 연구성과 발표회에서다.이 자리에서 황상규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조사분석본부장은 기조발표를 통해 매일 반복되는 교통관련 불편, 불안, 불평 등 소위 '3불(不)'을 해소하기 위해 ▲교통안전시설 정비 ▲전국 대중교통수단의 통합관리 ▲대중교통요금 지원 ▲통행료 제도 개선 등의 정책방안을 제시했다.황 본부장은 교통분야의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탈석유, 산업활성화(태양광, SI 등) 등에 따라 창의적인 전기차(EV) 사업 모델을 만든 이스라엘 등의 사례를 들어 ▲정보통신(ICT)기술을 활용한 교통안전규제 개선 ▲전국 콜택시 번호 단일화 ▲빅데이터베이스(Big DB)를 활용한 교통재난 처리 등이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또 국민행복과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우선 정책과제로 ▲생활편의 도시인프라(교통)중심 국정과제의 융합 ▲생활밀착형 주거, 교통 및 지속가능발전 연구개발(R&D) 추진을 꼽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그는 국토교통부가 ▲예방형 정책(Before Service Policy) 개발: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예측시스템 ▲정책형성(Policy Sensing & Window) 강화: 정책수요자 연계시스템 구축 ▲정책융합(Policy Package) 추진체계 마련: 국정과제 융합 오픈 플랫폼(Open Plate form) ▲정책마켓팅(Holistic Policy Marketing): 전방위적(사전조사·사후평가) 홍보 등을 추진 전략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박미주 기자 beyond@<ⓒ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박미주 기자 beyon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