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자국의 경기 부양을 위한 선진국의 돈살포가 단기적으로는 신흥국의 희생을 강요하지만, 길게봐선 세계경제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선진국 경기가 살아나면 이걸 발판삼아 세계 경제가 일어설 수 있다는 논리다. 한국금융연구원 이명활 선임연구위원은 17일 금융연구원·국제금융학회 공동 정책심포지엄에 앞서 배포한 자료를 통해 "선진국의 양적완화로 신흥국의 통화 가치가 올라 환율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이렇게 분석했다.이 연구위원은 돈살포에 따른 파급 효과를 장·단기로 나눠 설명했다. 그는 "선진국의 돈살포가 단기적으로는 신흥국의 희생을 강요하고, 장기적으로는 선진국의 경기 회복을 기반으로 세계 경제의 회복을 도모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따라서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국제적 정책공조 노력이 시급하다"면서 "협력체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한편 "돈을 풀어도 선진국에는 디플레이션, 신흥국에는 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세계 경제가 동시에 디플레이션에 빠졌던 대공황 당시와는 돈살포의 파급 효과가 완전히 다르다는 주장이다. 과거 대공황 시기 선진국의 돈살포는 세계 경제를 살리는 구원투수였다. 전 세계에 극심한 경기 침체와 디플레이션에 시달렸기때문이다. 당시 세계는 통화량을 늘려 물가를 끌어올리면서 경제를 되살렸다. 요사이 중앙은행의 발권력을 동원해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는 일본도 이런 방식을 차용한 셈이다.이 연구위원은 하지만 요사이 양상은 완전히 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선진국과 달리 상대적으로 경기가 괜찮은 신흥국은 유동성이 대규모로 유입돼 자산가격이 상승하고 물가 인상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연미 기자 ch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연미 기자 ch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