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세권개발 사업부지 전경.
[아시아경제 김창익 기자]코레일 주도의 용산역세권개발 사업 정상화가 민간출자사들의 반발로 무산되면서 롯데관광개발과 박해춘 회장의 귀환 여부가 초미의 관심으로 떠올랐다. 코레일식 회생 방안이 추진될 경우 롯데관관은 모든 경영권에 손을 떼고 사실상 지분투자자로 남을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박해춘 용산역세권개발(AMC) 회장도 코레일의 사퇴 압력으로 지난 2일 사표를 냈었다. 하지만 지난 4일 코레일식 정상화 방안에 과반 가까운 출자사들이 반대하면서 롯데관광과 박해춘 회장 주도의 용산개발 경영이 극적인 회생 국면을 맞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600억원 규모의 긴급자금 지원과 출자사들의 모든 기득권 포기를 골자로 코레일이 제시한 특별합의서가 롯데관광(15%, 이하 드림허브 지분율)과 삼성물산(6.4%) 등이 반대하면서 주총 가결 요건인 66.7%를 넘지 못해 부결됐다. 이에따라 코레일은 예정대로 청산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8일 경영전략 위원회와 이사회를 잇따라 열고 토지매매계약 등 사업협약 해제를 의결한 뒤 9일 일부 땅값을 대주단에 반납할 계획이다. 지난달 12일 어음이자 52억원을 갚지 못해 디폴트가 난 상황에서 땅값을 담보로 어음에 대한 반환 보증을 선 코레일이 땅값의 일부를 반납할 경우 토지 반환 절차가 시작되면서 시행사인 드림허브는 사실상 청산 절차를 밟게 된다. 자본금 1조원이 바닥난 상황에서 유일한 자산인 토지를 반납할 경우 법정관리 등 회생절차가 사실상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코레일 이사회가 실제 청산을 결의할 경우 롯데관광과 박해춘 AMC 회장의 귀환은 물거품이 된다. 하지만 롯데관광은 물론 코레일의 특별합의서에 반대한 민간출자사들은 용산개발의 사업규모와 국가 경제에서 갖는 상징성 등을 감안할 때 코레일이 자기손으로 청산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1700억원을 투자해 사업이 파산할 경우 기업 존립 자체가 위험한 롯데관광이 반대표를 던진 것은 코레일이 파산 국면을 자초하지 않을 것이란 치밀한 상환 판단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게 관련 업계의 분석이다. 이에 대해 한 출자사 관계자는 “어음 원리금 상환기일인 6월12일까지는 정상화의 기회가 있다는 게 출자사들의 판단”이라며 “법률 자문 결과 코레일이 이행보증금 2400억원을 볼모로 4월 중에 청산 절차에 들어간다는 것은 법률적으로 여러 가지 해석의 여지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말했다.만약 민간출자사들의 판단대로 코레일이 청산 결의를 피해갈 경우 롯데관광 주도의 민간 정상화 방안이 모색된다. 이 경우 롯데관광은 드림허브 2대주주면서, AMC의 1대주주로서 경영권을 행사하며 용산개발 사업의 주도권을 다시 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표를 냈던 박해춘 AMC 회장도 지난 5일 사표를 철회하며 경영 일선 복귀를 노리고 있다. 정부의 입장도 용산개발 정상화 구도에 주요 변수로 부상했다. 국토교통부는 철도운영 사업 안정성을 위해 용산개발 사업에 대한 코레일의 추가 투자에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민간출자사들이 코레일이 민간 정상화 방안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국토부 산하 PF 조정위원회에 중재를 신청할 방침이어서 정부의 역할이 사업 정상화에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김창익 기자 window@<ⓒ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창익 기자 window@ⓒ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