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사망자·사고발생 줄었다

행안부, 2010년 공사 완료 455개소 조사… 사망자 50.8% ↓, 사고발생 34.8% ↓

[아시아경제 나석윤 기자] 행정안전부가 지난 2010년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이하 개선사업)' 대상지 455개소를 조사한 결과 사망자 수와 사고 발생건수가 모두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상습 교통사고 발생지에 중앙분리대 및 과속카메라 설치, 신호등 위치 조정 등을 실시하는 개선사업이 효과를 거두고 있는 셈이다.행안부는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2010년 대상지의 공사 이전과 이후 각 1년(2009∼2011년) 교통사고를 비교· 분석한 결과 사망자 수는 65명에서 32명으로 50.8%, 사고 발생건수는 3589건에서 2340건으로 34.8% 줄어들었다고 18일 밝혔다.아울러 사업의 경제성을 나타내는 '비용 대 편익(B/C) 비' 역시 2.67을 기록해 투자대비 효과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통상적으로 B/C 비가 1.0 이상일 경우 경제성이 있는 사업으로 분류된다.개선사업은 지난 1991년을 시작으로 교통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지점에 중앙분리대나 교통섬 등 안전시설 설치, 신호등과 횡단보도 위치 조정, 과속카메라 설치 등으로 사고 발생가능성을 낮추고자 시행 중인 사업이다. 매년 전국 300곳 안팎의 지역을 선정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올해의 경우에는 약 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서울·경기 68개소, 경남 20개소, 전남 11개소 등 전국 241개소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이와 관련해 윤광섭 행안부 재난안전실장은 "개선사업은 우리나라가 교통사고를 줄여 교통안전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전국의 교통 위험구간을 개선해 교통사고로부터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행안부는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간의 일정으로 경북 경주에서 전국 300여명의 개선사업 업무담당자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 자리에선 일선 시·군·구 실무자의 업무능력 향상 도모와 현장 의견수렴을 통한 사업효과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나석윤 기자 seokyun1986@<ⓒ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나석윤 기자 seokyun1986@ⓒ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