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뛴다. 식품값이 줄줄이 오르고 공공요금도 들썩인다. 합당한 인상 요인이 없는데도 값을 올리는 제품이 적지 않다. 정권 교체기 물가 감시가 느슨해진 틈을 탄 꼼수 가격인상이 의심되는 대목이다. 제품값 올리기에 앞장 선 곳은 식품업계다. 올 초 CJ제일제당이 밀가루 값을 8.8% 올린 것을 시작으로 주요 식품업체들은 고추장, 된장, 간장, 두부, 포장김치 등의 가격을 줄줄이 인상했다. 지난해 말 대선 땐 술과 라면, 과자, 음료 값이 뛰었다. 오름 폭도 7~8%로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1.5%의 5배에 이른다. 업체들은 국제 곡물가 상승으로 원재료 값이 올라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사실의 왜곡으로 설득력이 없다. 국제 곡물가는 지난해 9월 이후 하락세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설탕은 17%, 유제품은 15%, 곡물은 2.4% 떨어졌다. 더구나 올해는 남반구의 생산량 증가 등으로 밀, 옥수수, 콩 등의 가격이 크게 내려갈 것이라고 한다. 지금 시점에서 가격을 올릴 하등의 이유가 없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원화 강세의 영향으로 원가 부담은 더욱 줄어드는 추세다. CJ제일제당이 지난해 전년보다 45% 늘어난 2461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게 그 방증이다. 대상은 순이익이 33%, 샘표식품과 롯데칠성음료는 각각 68%나 증가했다. 돈을 많이 번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은 독점적인 지위를 이용한 잇속 챙기기라는 비난을 들어 마땅하다. 민간 기업뿐 아니라 공기업도 요금을 잇따라 올리고 있다. 도시가스 요금이 내일부터 평균 4.4% 오른다. 올 들어 전기료가 인상된데 이어 다음달엔 시외 및 고속버스 요금도 오른다. 마치 정권 교체기 어수선할 때 올리고 보자는 식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의 물가관리는 허술하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오늘 주요 식품업체 관계자들을 만나 물가안정 협조를 당부했다. 값이 이미 오른 터에 뒷북 대응이다. 가뜩이나 불경기인데 식탁물가에 공공요금까지 오르면 서민 삶은 더 팍팍해질 수밖에 없다. 뛰는 서민물가를 그대로 둬서는 안 된다. 이명박 대통령이 "경제와 민생은 임기가 없다"고 했듯 현 정부 새 정부 따질 것 없이 물가를 철저히 챙겨야 한다. 기업들도 어려운 때일수록 소비자와 함께한다는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