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의 청와대, 忠臣<친박>과 通臣<소통> 사이 고심

최경환·권영세 등 대통령실장 후보 거론…집무실·비서실 구조 개편도 검토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새 정부 첫 국무총리와 내각 구성에 매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청와대 인선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14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관계자에 따르면 박 당선인은 청와대 참모진에 소위 '친박계 실세'라고 불리는 최측근들을 기용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대통령실장에는 최경환 의원, 권영세 전 의원, 유정복 의원 등이 하마평에 올랐다. 최외출 영남대 교수, 이정현 당선인 비서실 정무팀장, 이재만·정호성·안봉근씨 등 핵심 보좌진들도 청와대 행이 점쳐친다.전문가들은 박근혜 정부의 성패 여부가 청와대 인선에 달려있다고 입을 모은다. 함성득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대통령학 전공)는 "청와대 인수가 잘 돼야 좌표전환과 인사검증체계가 확고히 자리를 잡는다"며 "총리, 내각 인선도 중요하지만 당선인이 빨리 대통령실장, 총무비서관 등을 내정해서 청와대 업무에 대한 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함 교수는 특히 대통령실장 인선과 관련해서는 "박 당선인이 원칙, 소신 등을 중시하다 보니 딱딱한 이미지가 있다"며 "(이를 보완해줄 수 있는) 행정, 언론 대응 경험이 많고 부드러운 대통령실장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의 인사는 아버지인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과 스타일이 닮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 전 대통령은 전문가형, 화합형 비서실장을 둬 자신의 단점을 메웠다. 김정렴 전 비서실장이 대표적인 예다. 김 전 실장은 1969년부터 1978년까지 9년여 동안 박 전 대통령을 보좌했다. 한국은행 출신인 김 전 실장은 비서실장을 맡기 전 재무부 장·차관과 상공부 장·차관을 두루 거쳤다. 그는 카리스마로 정치력을 발휘하기 보다는 성실하고 묵묵히 일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밖에 새 정부 청와대의 구조도 관심거리다. 지난해 대선 당시 새누리당 정치쇄신특위는 박 당선인에게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이 너무 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있다. 대통령이 고립돼 있지 않고 호흡을 같이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건의했다. 청와대가 '구중 궁궐'이 아니라 '소통의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 당선인도 이 같은 제안에 어느 정도 수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대선 공약에 비춰보면 박 당선인은 업무에 있어서도 '작은 청와대'를 구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박 당선인은 ▲청와대 수석에게는 대통령 보좌관으로서의 역할만 부여 ▲특별감찰관제와 기회균등위원회를 두고 민정수석 자리는 개편 ▲외교안보수석실과 국가위기관리실의 업무를 신설되는 국가안보실로 통합 ▲경제수석실 기능을 약화시키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행정안전부는 지난 9일 발표한 '인수위 운영 개요' 보고서를 통해 박 당선인이 오는 20일께 총리 후보자 인선을 발표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치권에서는 장관 지명 등 첫 조각은 2월 초순이 유력하며 청와대 인선은 내각 발표에 앞서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오종탁 기자 tak@<ⓒ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종탁 기자 ta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