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인체조직 기증 몰라요'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뇌사자의 장기 기증과 달리 사후 뼈나 피부, 인대 등을 기증하는 인체조직 기증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사단법인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이사장 박창일, www.kost.or.kr)가 지난달 18일부터 3일간 리서치 전문기관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전국 만 20세 이상 온라인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인체조직 기증을 올바로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31.7%에 그쳤다고 2일 밝혔다.이는 혈액을 기증하는 헌혈·장기 기증 인지도 99%와 조혈모(골수) 기증 인지도 91%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인체조직 기증은 사후에 피부나 뼈, 연골, 인대, 건, 혈관, 심장판막 등을 기증하는 것으로, 화상환자 등 조직에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치료와 재활을 목적으로 한다. 기증자 한명이 최대 100여명의 환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다는 게 지원본부 측의 설명이다.이번 설문에서 응답자 가운데 인체조직 기증 의사가 있다는 답은 34.4%였으며 '꼭 기증 서약할 것'이라고 답한 이들은 4.3%에 불과했다.기증 서약에 부정적인 응답자(158명)들은 '어떻게 쓰일지 신뢰할 수 없어서(40.5%)', '시신 훼손이 우려돼서(19.0%)', '가족이 반대할 것 같아서(17.7%)', '주변에서 사례를 본 적이 없어서(14.6%)' 등의 이유를 댔다.하지만 인체조직 기증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들은 후에는 기증 서약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이 47.3%로 높아졌다.설명을 들은 후 긍정적 의사로 돌아선 응답자 129명은 '수혜자 대부분이 저소득층 화상 환자인 점(77.5%, 복수 응답)', '기증자 예우 차원에서 최대 540만원까지 지원된다는 점(46.5%)' 등을 의향 변화 이유로 꼽았다.서약이 아닌 실제 기증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유가족들을 예우하는 방안이 중요시돼 응답자의 41.8%가 '가족 사망시 인체조직 기증에 동의하겠다'고 답했고, 비동의자의 경우에도 '헌혈증서 등과 같이 유가족이 조직 이식을 받을 때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기증에 동의한다'고 변경한 응답이 38.8%로 나타났다.본부는 "인체조직 기증 문화를 확산하려면 이타적 나눔 정신을 일깨우는 동시에 실질적인 기증자 예우도 중요하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인체조직 기증자는 234명에 그친 반면 유통된 전체 인체조직 가운데 수입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76%에 달했다.지난해 11월 말 기준 인체조직 기증 희망 서약자는 11만5895명으로 장기기증 희망 등록자 88만9616명의 8분의 1 수준이었다.조인경 기자 ikj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온라인뉴스본부 조인경 기자 ikj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