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후 좌초 위기에 몰렸던 역세권 시프트(장기전세주택) 사업이 부활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역세권 시프트란 교통이 편리한 지하철 반경 250~500m 재개발 지역을 선정, 용적률을 높여주는 대신 늘어난 가구 일부를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서울 동작구 상도동 25-8일대에 들어설 예정인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
오세훈 전 시장 당시 임대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도입됐지만 박 시장 취임 후에는 명맥이 끊기다시피 했다.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해 뉴타운 등의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면서 부터다. 올 상반기 역세권 시프트에 대한 사업승인은 커녕 심의조차 줄줄이 연기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연말에 접어들면서 사업추진 동력이 다시 생겨나고 있다. 임대주택 8만가구 공급 차원에서 소형 임대물량을 대거 확보할 경우 건축심의를 통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온다.서울시 등에 따르면 강동구 천호2구역조합은 이달부터 서울시 건축심의를 받기 위한 디자인 수립에 나섰다. 지난달 용적률 상향을 골자로 한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건립에 따른 정비계획 변경안'이 도계위를 통과한 후속 조치다. '천호동 텍사스'로 불리던 유흥지역을 포함해 도심공동화와 슬럼화를 해결하는게 골자다.당초 천호2구역은 지난해부터 235%의 기존 용적률을 300%로 올려 시프트를 포함, 190여가구의 아파트를 짓는 내용의 정비계획을 추진했다. 하지만 박 시장 취임후 무분별한 역세권 개발에 대한 심의기준이 강화되며 수개월이 넘도록 논의되지 못했다. 좌초 위기를 겪기는 다른 구역도 마찬가지다. 7호선 장승배기역과 상도동 일대에서 추진 중인 시프트 역세권은 올 초까지 난항을 겪었다. 심지어 일부 사업지에서는 역세권 시프트 건립을 위한 서울시 심의신청을 아예 포기한 곳까지 등장했다.하지만 하반기 들어 분위기가 반전됐다. 북한산이나 한강변과 같은 자연경관지구와 구릉지 등 건립제한지를 제외한 기존 사업장은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건축물 하층부 디자인을 특화하도록 조건이 붙었지만 천호2구역은 용적률은 물론 건축 높이가 기존 18층에서 23층으로 상향되며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총 주택수는 144가구(임대 21가구)에서 189가구(장기전세 32가구)로 바뀌었다.앞서 8월에는 동작구 상도동 지하철7호선 장승배기역 인근에 시프트 54가구를 포함한 201가구 규모의 아파트를 건립하는 계획안이 통과됐다. 이곳은 올초 서울시의 심의 중단으로 건설사가 지급보증을 꺼려 사업성이 바닥까지 떨어졌던 곳이다. 이어 9월에도 2건의 역세권 시프트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서울 중랑구 신내동 지하철6호선 봉화산역 환승주차장과 지하철2호선 신답역과 5호선 답십리역 역세권에 위치한 8738㎡ 규모의 사업부지에 시프트를 짓는 계획안으로 각 사업지에는 각각 200가구, 85가구의 시프트가 들어선다.10월에는 관악구 신림동 강남아파트가 역세권 시프트 기준을 적용받아 사업 승인을 받아냈다. 종전 250%이던 용적률이 399%로 크게 올라 35층 아파트 8개동에 시프트 173가구를 포함한 총 1124가구로 재건축된다.서울시 관계자는 "무분별한 사업지는 심의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지만 기존 사업지 중 서민임대가 필요하다 판단되는 곳은 인근 주거지와의 조화를 바탕으로 계획안을 조정해 다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경환 기자 khba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배경환 기자 khba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