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스스로를 표현하되 콘텐츠를 무료로 공유하든 돈을 받든 그것도 스스로 결정하라."지난달 1일(현지시간) 출범한 미국의 새로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피드(Pheed)'가 내건 구호다. 피드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돈 받는 트위터'다.이용자는 피드에 올려놓은 콘텐츠를 무료로 공유할지 아니면 돈 받고 공유할지 택할 수 있다. 유료일 경우 1.99~34.99달러(약 2170~3만8200원)를 부과할 수 있다. 부과 방식도 월 단위로 할지 콘텐츠 건당 받을지 택할 수 있다.최근 미국 경제 격주간지 포브스 온라인판에 따르면 피드는 이용자가 벌어들이는 수익의 절반을 취한다. 이렇게 취한 돈은 피드에 올라온 콘텐츠를 저장하고 결제 과정을 처리하는 등 피드 운영에 쓰고 남는 돈은 수익으로 챙긴다.피드에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음성, 라이브 방송 등 다양한 콘텐츠를 올릴 수 있다. 거실에서 쇼를 하든, 부엌에서 코미디를 하든, 특정인을 만나 인터뷰하든, 친구끼리 벌인 권투시합을 동영상으로 올리든,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돈도 벌 수 있다.피드는 기존 SNS인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운영방식에 불만이 있는 유저들을 표적으로 삼았다.피드 운영자들은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기존 SNS에 많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용자가 SNS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고 이제 싫증도 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에 저질 콘텐츠가 숱하다. 이용자는 SNS의 애초 취지인 '양질의 컨텐츠 공유'보다 그저 팔로어 늘리는 데 여념이 없다.피드의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오데드 코보는 "이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해야 할 때가 됐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온라인 벤처 업계의 베테랑인 그는 "이용자가 자기 콘텐츠로 돈 벌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애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병희 기자 nut@<ⓒ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병희 기자 nut@ⓒ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