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국내 주택시장의 극심한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선 미국 주택담보대출 구제제도(모기지)의 도입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미국 주택시장이 회복조짐을 보이는 것은 광범위한 모기지 대책이 일부 효과를 보이며 반전을 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1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금융위기 이후 미국 모기지 지원 프로그램 시사점 보고서'는 "시장주의를 표방하는 미국에서 원금삭감까지 하는 모기지 지원 정책을 펼친 것은 시장침체기를 벗어나는 것이 시장과 주택소유주, 정부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주택시장은 지난 6년간 ▲주택가격 30% 이상 하락 ▲재고주택 판매량 35% 감소 ▲신규주택 판매량 75% 감소 등 극심한 침체를 나타냈다. 이에 미국 연방 정부는 인센티브 방식으로 재정을 직접 투여하면서 수요자의 재정 상태에 따라 리파이낸싱, 조정, 압류와 퇴거 방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이를 통해 올해 들어 지표상 반전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가격이 4개월 연속 상승을 동반해 재고주택과 신규주택 판매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 여기에 신규공급 증가와 임대료도 상승해 모기지 금리는 낮아지면서 주택구매 유인을 발생시키고 있다. 허윤경 건산연 연구위원은 "미국과 우리나라 주택금융구조는 다른 점이 많아 종합적인 검토 하에 단계별 접근이 필요하다"며 "압류나 퇴거 방지 등은 사회안전망 차원에서 취약 계층에게 적극 도입해볼만 하며 소득이 안정적인 계층에는 리파이낸싱이 적합하다"고 말했다.즉 자가거주 주택소유주 뿐만 아니라 임차인 문제에 대한 동시 다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주택구입 당시와 달리 현재의 재정여건이 악화된 계층에 대한 지원은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소득이 안정적인 계층에는 리파이낸싱을 적용할 때 조기상환 수수료와 대출완료 수수료, 신규대출 수수료 등 부대발생 비용 인하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허 연구위원은 "개별 금융권에서 자체적으로 접근하기는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정부가 콘트롤 타워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금융권도 현재의 리스크 분담이 장기적으로는 재무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진희정 기자 hj_j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진희정 기자 hj_j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