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경제 위기극복엔 세계 1등…美FP,2008년 침체 가장 먼저 벗어나=한국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가장 잘 극복한 국가로 꼽혔다. 미국의 유력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는 10일(현지시간) ‘글로벌 위기를 이겨낸 7개 나라’란 제목의 11월호 기사에서 한국을 가장 첫 번째 나라로 꼽았다. FP는 “중국과 인도의 부상은 이미 상투적인 표현이 됐고 어느 나라도 2008년 금융위기에서 무사하지 못했지만, 한국·폴란드·캐나다· 스웨덴·인도네시아·터키·멕시코 7개 나라는 매우 잘 극복해 냈다”고 평가했다.한국은 연구개발(R&D) 관련 정부 예산지출이 전체의 3.4%로 이미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었지만 이를 5%까지 더 높였고, 원화 가치를 낮게 유지하는 통화정책으로 수출을 늘리는 한편 산업계에 다양한 보조금 지원과 함께 혁신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 덕분에 삼성전자, 현대·기아차 같은 대표적 대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었다고 FP는 설명했다.이에 힘입어 한국은 2009년 경기침체에서 탈출한 첫 번째 국가가 됐으며 가계소득도 지난 11개분기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위기 속에서도 건실한 성장세를 보이자 세계 자본시장의 투자가 신흥국 중에서도 한국으로 몰렸으며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스탠다드앤푸어스(S&P)·피치는 올해 한국의 신용등급을 모두 상향 조정했다.FP는 한국의 내수소비가 여전히 낮고 가계부채 비율은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는 등 여전히 해결할 과제가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세계 무역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면 수출 ‘한류’가 세계 곳곳으로 뻗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두 번째로 언급된 폴란드는 그 동안 자본주의를 도입한 동유럽 국가들 중에서는 체코나 슬로베니아 등에 줄곧 뒤쳐졌지만 경제위기를 계기로 2008~2011년의 4년 동안 15.8%나 성장하는 등 EU 국가 중 유일하게 경기가 위축되지 않은 나라가 됐다.또 캐나다는 지난 20년간 막대한 국가부채와 낮은 성장률로 고심해 왔지만 2008년 위기가 닥치자 그동안 진행해 온 재정적자 감축과 긴축 정책이 빛을 봤다. 캐나다 국민들의 평균 가처분소득은 지난 10년간 15% 늘었으며 국경일인 올해 7월1일에는 캐나다 정부가 국민평균소득이 사상 처음으로 미국을 추월했다고 선언했다.지난 1992년 부동산버블 붕괴와 금융위기를 겪었던 스웨덴도 은행권 구조조정 등으로 맷집을 키운 덕에 글로벌 위기를 잘 견뎌낼 수 있었다. 스웨덴은 세계적으로 악명높은 높은 재산세와 법인세를 낮췄지만 지금도 세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보건복지와 교육예산에 여전히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그럼에도 스웨덴의 국가부채는 GDP의 38% 수준이며 독일의 80%보다도 낮다.인도네시아는 국민들의 80%가 미래에 인도네시아가 세계적 강대국이 될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도인들을 제치고 가장 낙관적인 소비자들로 꼽혔다. 이같은 배경에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은 인구와 풍부한 천연자원 등이 있다.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위기 가운데서도 매년 4.5%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지난해 주요20개국(G20) 가운데 중국 다음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터키는 유럽 경제위기에 상대적으로 덜 노출된 덕에 지난 10년간 국내총생산(GDP)과 1인당 국민소득을 거의 세 배로 늘릴 수 있었다. 현재 터키는 전세계 유수의 자동차메이커들이 모여 유럽 최대 자동차 생산국가가 됐으며 제약산업에서도 마찬가지다. 멕시코는 지난 6년간 마약조직과의 전쟁에서 5만명 이상이 사망하면서 상대적으로 경제성장이 주목받지 못했다. 멕시코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브라질을 추월했으며 2010년 한해에만 7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생겨났다.◆기업 경영환경은 獨·美보다 낫네…美마켓워치, 50국 중 8번째=한국의 기업 경영환경이 주요 50개국 중 8번째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10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글로벌컨설팅업체 ‘그랜트손튼인터내셔널’은 각국별 기업환경을 평가하는 ‘글로벌 역동성지수'(Global Dynamism Index)’ 보고서를 발표했다. 여기서 한국은 총점 64.9점을 차지해 8위에 올랐다. 이는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싱가포르에 이어 두 번째이며 일본보다도 앞선 수치다.1위는 72.1점의 싱가포르가 꼽혔고 2위는 핀란드(70.5점), 3위는 스웨덴(69.6점), 4위는 이스라엘(69.3점), 5위는 오스트리아(66.1점), 6위는 호주(65.6점), 7위는 스위스(65.1점)였다. 독일이 64.8점으로 9위에 올랐고 미국은 64.1점을 기록해 10위였다.이외에 대만과 중국은 각각 13위와 20위였고 일본은 26위였다. 그랜트손튼의 역동성지수는 기업이 역동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환경 수준을 나타내기 위해 ▲기업운영 환경, ▲과학·기술 ▲노동·인적자본 ▲재무환경 ▲경제·성장성 등의 부문 점수를 매겨 평균점수를 낸다. 그랜트손튼 측은 각국 글로벌 기업의 고위임원 406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평가 영역에서 무엇이 얼마나 더 중요하다고 보는지 별도의 설문조사도 실시해 가중치를 산정했다고 덧붙였다.한국은 5개 부문 중에서 과학·기술 부문에서 4위, 노동·인적자본에서 6위에 올랐다.김영식 기자 grad@<ⓒ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김영식 기자 gr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