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폭증시대…실버 과학인 설 자리가 없다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과학계도 퇴직 과학인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오는 2020년에는 퇴직 과학인은 총 11만30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고급두뇌'들인 퇴직 과학인을 활용하는 정부의 노력은 그동안 부족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난 2010년에 65세가 넘은 원로 과학인들은 7800명으로 추산됐다. 이들 중 2010년 정부의 지원을 받은 원로 과학인은 450명에 머물렀다. 특히 2010~2020년에 사이에 ▲과학 ▲정보 통신 ▲공학을 전공한 퇴직 과학인들이 대거 쏟아져 총 11만30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1945~54년생이 1만6000명, 1955년~64년생이 9만7000명 규모가 될 것으로 분석됐다.교육과학기술부는 퇴직 과학인을 지원하기 위해 'ReSEAT 프로그램'을 10년 째 운영하고 있다. ReSEAT 프로그램(Retired Scientists and Engineers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 지원사업)은 산·학·연 퇴직 과학 기술인을 초빙, 최신 글로벌 과학기술동향을 분석해 연구개발 현장의 과학자들에게 제공하는 사업을 말한다. ReSEAT 프로그램으로 지금까지 총 2462명의 고경력 과학 기술인이 참여했다. 2011년 한 해 동안 287명의 고경력 과학 기술인이 6000편 이상의 최신 과학기술정보를 분석했고 2012년에는 280명의 고경력 과학 기술인이 과학기술 정보 분석과 청소년 멘토링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인력정책센터 민철구 선임연구위원은 "ReSEAT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해 ▲과학기술인력의 사기진작 및 평생활용체제 구축 ▲산학연 R&D 활동 지원을 통한 과학기술진흥 ▲과학교육 지원을 통한 청소년의 창의성 함양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민 위원은 "퇴직 과학인에 대해 정부는 그동안 정보 분석 등 소극적 사업에만 집중돼 왔다"고 지적한 뒤 "좀 더 액티브한 곳에서 일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0년 동안의 ReSEAT 프로그램이 사실은 정보분석을 하는 등의 간단한 서류작업에 불과했다는 진단이다. 최근 과학계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 지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민 위원은 "미국이나 유럽의 과학자들은 종신 연구인으로 사회적 대우가 상당하다"며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과학인들에게는 제일 중요한데 부족하다는 주장이다. 교과부는 오는 2013년5월까지 퇴직 고경력 과학기술인 현황분석 및 활용확대방안 연구를 수행한다. 원로 과학인을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교과부 허재용 과기인재정책과장은 "과학인재는 2010년 현재 총인구의 14.6%인 714만 명에 이른다"며 "2002~2010년 동안 퇴직 예정자는 매년 25.6% 증가했다"고 설명했다.허 과장은 "베이비 부머 세대들의 은퇴 시기가 다가오면서 퇴직 과학인들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고급 인재들인 이 분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상세한 통계 파악은 물론 지원 대책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과부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ReSAET 프로그램 운용 10주년을 맞아 24일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지원 정책' 세미나를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고령화와 이공계 인력부족의 새로운 대안으로 퇴직 과학기술인들의 활용 현황과 지원 정책을 짚어보고 발전 방안도 논의한다.정종오 기자 ikokid@<ⓒ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정종오 기자 ikoki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