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까지 인천이 쓰레기장 노릇할 순 없다'

인천시, 2016년 이후 수도권매립지 대체부지 물색

[아시아경제 노승환 기자] 인천시가 2016년이면 매립기간이 끝나는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대체부지 물색에 속도를 낸다. 당초 인천시와의 약정과 달리 기한을 2044년까지 연장하려는 서울시ㆍ경기도의 입장에 못을 박으려는 조치다. 대체부지는 인천지역 전용 매립장으로 검토된다. 수도권 매립지가 아니면 사실상 쓰레기를 버릴 곳이 없는 서울시ㆍ경기도와 인천시의 마찰이 더 커질 전망이다.

현재 수도권 생활쓰레기가 처리되고 있는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 2매립장 내 하치장. /사진=노승환 기자 todif77

인천시 수도권매립지 담당자는 17일 "올 연말 예산심의 때 대체 매립지 확보를 위한 조사용역비를 반영할 예정"이라며 "2016년 매립기한이 끝나기 전까지부지 조성을 완료한다는 전제 아래 진행하는 용역"이라고 밝혔다.인천시는 전문기관에 용역을 맡겨 대체 매립지의 적정 면적과 보상비, 접근성, 주민 반발 등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대체지를 찾을 방침이다. 그동안 써온 서구 수도권매립지처럼 최소한 20년 이상 쓸 수 있는 장소를 물색한다는 게 기본방향이다.인천시가 대체부지 확보를 '강행'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대표적인 혐오시설인 쓰레기 매립장에 대한 일대 주민들의 지속적인 피해호소와 반발 때문이다. 전체 수도권 매립지 반입 쓰레기 중 인천 발생분이 16%(지난해 기준)에 불과한데도 인천에만 매립지가 운영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무엇보다 1992년 쓰레기 매립이 시작될 당시 인천시와 서울시ㆍ경기도가 맺은 약정서 상 매립기한이 2016년으로 못 박힌 점이 인천시가 내세우는 가장 큰 명분이다.하지만 서울시와 경기도의 매립기간 연장 주장도 설득력이 없진 않다. 1992년 약정 당시엔 2016년이면 1~4 매립장이 모두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지만 현재 매립이 끝난 곳은 1매립장 뿐이고 2매립장은 용량의 70% 정도만 차 있는 상태다. 3ㆍ4 매립장 645만1000㎡는 아직 매립이 시작도 안됐다. 서울시와 경기도가 앞으로 32년 뒤인 2044년까지 현 수도권 매립지를 계속 사용하자고 인천시를 압박하는 이유다.수도권 매립지의 매립 면허권은 인천시가 쥐고 있다. 인천시가 실제로 대체 매립지를 조성하고 2016년 현 제 2매립장 쓰레기 반입을 불허할 경우 인천시와 서울시ㆍ경기도의 정면충돌이 불가피하다.노승환 기자 todif77@<ⓒ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노승환 기자 todif77@ⓒ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