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국내 연구진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끔찍한 기억들을 선택적으로 지울 수 있는 방법의 실마리를 찾아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5일 서울대 생명과학부 뇌인지과학과 강봉균 교수 연구팀이 기억의 조각들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시냅스 수준에서 규명하는 한편 기억을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밝혔다. 기억은 경험을 저장, 유지, 회상하는 과정으로 이뤄진다. 기억의 종류는 수초에서 수십분간 유지되는 단기기억과 수십년간 유지되는 장기기억으로 나뉘는데,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저장되기 위해서는 시냅스 구조가 변하는 경화 과정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회상으로 떠올린 장기기억을 다시 안정적으로 저장하려면 재경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재경화 과정에서는 시냅스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분해와 재합성이 일어나지만 과정은 지금껏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강 교수 연구팀은 바다 달팽이의 일종을 이용해 재경화 과정에서 단백질 분해와 재합성이 모두 같은 시냅스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 또한 통증을 유발하는 자극을 받은 뒤 생긴 민감화 기억이 재경화될 때에도 단백질 분화와 재합성이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강 교수 연구팀은 바다 달팽이의 민감화 기억을 단백질 합성 저해제로 지울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기억의 재구성 과정을 시냅스 수준에서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라며 "향후 특정 기억을 유지하거나 지우는 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정신질환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국립과학원학회보(PNAS)'에 온라인 게재됐다. 김수진 기자 sjkim@<ⓒ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김수진 기자 sjki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