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결자해지' 좌절되나

우리금융 민영화 무산 땐대책반장 이력에도 오점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결자해지(結者解之)'우리금융 민영화 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를 때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꺼낸 말이다. 그 의도 역시 뜻 만큼이나 간명하다. '매듭을 묶은 자가 풀겠다', 우리금융을 출범시킨 당사자인 자신이 책임지고 민영화를 마무리 짓겠다는 얘기다. 김 위원장의 '결자해지' 포부가 좌절될 위기에 놓였다. KB금융지주 이사회가 인수불참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우리금융의 민영화 자체가 무위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이 매듭을 묶어둔 것은 10여년 전 일이다. 지난 2001년 4월 우리금융지주가 출범할 당시 그는 금융위원회 담당 국장으로 있으면서 우리금융 정관까지 직접썼다. 설립 이후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데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 과정을 두고 김 위원장은 스스로를 '범인'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지난해 1월 금융위원회 수장으로 발탁된 이후 5개월만에 2차 민영화 작업에 착수한 것도 이 때문이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조기 민영화, 국내 금융산업의 바람직한 발전 등 표면적으로 내세운 이유 외에도 자신이 만든 대형 금융지주사가 아직도 정부소유로 있다는 데 대한 부채의식을 배제할 수 없다. 시장 일각에선 "어차피 성사되기 힘든 일이었는데 명분쌓기용으로 시도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3차 민영화가 또 다시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김 위원장의 리더십 문제도 재차 도마에 오를 수 있다. 특히 저축은행 구조조정 등 민감한 사안을 과감하게 처리하며 '대책반장'이라고 불려왔던 본인의 이력에도 치명적인 상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이번 정권에서의 마지막 시도였을 뿐 아니라, 그간 김 위원장이 대외적으로 민영화에 대한 확고한 자신감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그동안 김 위원장은 우리금융 매각을 무리하게 밀어붙인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도 "시장은 이미 우리금융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서 "(우리금융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곳이 많다"고 공언했었다.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정치권과 노조의 반대 등 외풍에 대한 아쉬움이 남을 수는 있다. 특히 유력 대권주자로 꼽히는 새누리당 대선 경선 후보 박근혜 의원이 "우리금융 매각을 다음 정권으로 넘겨야 한다"면서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었던 것이 치명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금융 매각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서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 현장에서 김 위원장은 "우리금융지주는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금융회사"라면서 "민영화가 지연될수록 경쟁력이 훼손되고 국민 부담이 증가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 전적으로 시장과 산업의 판단에 따라 입찰이 이뤄질 것"이란 설명도 덧붙였다. 최종적으로 입찰 무산이 결정되면, 이번 정권에서의 재매각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정권이 바뀐 뒤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은 언제 재개될 지 예측할 수 없는 일이다. 무리한 시도였다는 외부 비판은 차치하더라도, 묶어둔 매듭이 풀리지 않았다는 자괴감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김현정 기자 alpha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현정 기자 alpha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