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고소득노조 파업, 우리나라 밖에 없다'

19일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비판...경제민주화 논쟁에도 '지나친 기업 제재 투자 심리 위축 우려' 반박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정치권에서 대선 이슈가 된 '경제민주화' 논쟁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또 금융노조ㆍ현대기아차 노조 등의 파업에 대해 "정말 어려운 사람들은 파업도 못 한다.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이 대통령은 1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지나친 기업에 대한 제재는 기업의 투자 심리 위축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대기업 총수들의 배임죄에 대한 형량 강화 등 최근 정치권에서 대선 이슈로 떠오른 경제 민주화에 대해 간접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이 대통령은 이어 "어려울 때일수록 기업이 활기를 뛰고 사기 충천해 잘 해보자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며 "기업이 국내에 투자할 의지를 가지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대통령은 또 금융노조ㆍ현대기아차 노조 등의 파업에 대해 "고소득 노조가 파업을 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밖에 없다"고 비난했다. 이 대통령은 "온 세계가 당면한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고소득 노조의 파업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말 어려운 계층은 파업도 못한다"고 지적했다.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가계부채 문제가 현재까지는 전반적으로 관리 가능하다고 하지만, 한계에 다다르면, 급격히 무너질 수 있다"면서 세심한 관리를 당부했다. 그러면서 "너무 불안감 조성하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정확한 상황을 국내외에 알릴 필요가 있다"며 "세계경제가 굉장히 어려운 시기다. 한국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지만, 의연하게 대처하자"고 당부했다. 이어 서민 금융 지원 강화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가계부채 통제 하다 보면 서민금융 위축될 수 있다. 가게부채와 서민금융은 상관 관계가 있다"며 "어려울 때 일수록 정부가 어려운 사람을 더 어렵게 하는 금융정책을 써서는 안 된다. 서민 금융에 대해서는 정부가 금융기관이 사려깊고 자상하고 세심하게 해달라"고 말했다.한편 이날 열린 129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선 '가계부채 동향 및 서민금융지원강화방안'을 놓고 토론이 벌어졌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대부분의 참석자들이 너무 우려스러운 상황은 아니며 관리 가능한 상황이라고 의견이 모아졌다"며 "다중 채무자 증가 등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 악화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고 전했다. 김봉수 기자 bskim@<ⓒ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봉수 기자 bski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