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4026억원 예산으로 ‘굴뚝산업’을 ‘첨단산업’으로…9월 재생사업지구 지정고시 예정
1960년대에 만들어진 대전산업단지 입구. 187개 업체에 44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한해 생산액은 약 2조1175억원, 수출액은 약 5만1600만 달러다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대전 경제발전을 이끈 대전산업단지(이하 대전산단)가 40년만에 재생사업으로 분주하다. 대전산단은 125만6000㎡ 규모의 지방산업단지로 제1단지와 제2단지로 나뉜다. 1단지는 47만9000㎡규모다. 1969년 착공돼 1973년 준공됐다. 2단지는 77만7000㎡ 규모로 1975년 착공, 1979년 준공된 공단이다. 대전산단엔 187개 기업체가 입주해있고 근로자수는 4400여명에 이른다. 한해 생산액은 약 2조1175억원, 수출액은 약 5만1600만 달러를 기록한다.그러나 최근 들어 기반시설이 낡아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수십년 된 낡은 건물과 좁은 도로, 주차장 미비 등 열악한 환경은 공단의 경쟁력을 잃은 지 오래다. 더욱이 ▲공해업종이 들어서고 ▲주변지역의 난개발 ▲정주여건 악화 ▲사업비 증가로 민원이 끊이질 않았다. 30년 전에 만들어진 전국의 주요 산업단지는 도시팽창으로 주거지역과 접속되면서 공해, 소음 등 도시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도로, 녹지 등 기반시설이 매우 나쁘고 대규모 장치산업 위주로 이뤄져 옮기기도 어렵다. 대전산업단지도 마찬가지다.
대전산업단지 전경.
이에 2009년부터 대전산단이 재정비에 착수했다. 이에 따른 대전산단 재생사업의 사업기간은 2020년까지로 대덕구 대화동, 읍내동 일원의 기존 1·2단지(120만7000㎡)와 주변지역(110만1000㎡) 등 230만8000㎡을 대상으로 한다.사업비는 4026억원이다. 이 가운데 공공예산은 1666억원. 나머지 2360억원은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이뤄진다. 기존 산업단지지역은 도로, 주차장, 공원, 녹지 등 산업기반시설을 확충해 기업지원을 강화하는 쪽으로 진행된다. 주변지역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대전도시공사를 중심으로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산업용지,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한 지원시설 용지, 물류시설 등을 만든다. 대전산단을 도시형 복합산업단지로 바꾸는 재생사업이 마무리되면 대전시의 경제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시 과학특구과 관계자는 "재생계획 관련부서 및 기관협의를 거쳐 오는 9월 재생사업지구 지정·고시가 예정돼 있다"며 "내년 8월까지 재생사업실시계획 등 시행계획용역을 추진한다. 재생사업은 내년 9월 착수, 2020년까지 단계별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산단 개발계획.
한금태 대전산업단지협회장(삼영기계 대표)는 "대전산단의 최대현안인 재정비사업은 공단입주민들 의견을 적극 들어 기업과 주민들 피해를 최소화하는 쪽으로 돼야 한다"고 말했다.한 회장은 "이번 재정비사업에 주민과 입주기업들 기대가 크다. 좁은 도로를 넓히고 부족한 주차장을 확보하는 정도로는 어림없다. 먼저 확장이전을 원하는 기업들이 대체 터를 싼값에 분양받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기존 건물처리와 신축, 설비이동비도 만만찮다. 양도소득세 면제 등 세금지원도 필요하다"며 "재정비로 달라질 대전의 미래가치와 이전기업의 지원비용가치를 평가해 어느 쪽이 더 큰가를 비교하면 쉽게 답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기업지원방향도 문제다. 한 회장은 "외국투자기업에 대해선 많이 지원해주면서 정작 우리 기업투자에 대해선 소홀하다"며 "기업이윤의 상당부분을 세금으로 걷어가는 현실에서 정부는 기업지원·육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이영철 기자 panpanyz@<ⓒ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영철 기자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