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 김종일 기자]통합진보당의 지배구조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최대지분을 자랑해오던 이정희 전 공동대표와 당권파및 그 지지세력들이 폭력사태를 일으키면서 당내는 물론, 진보진영과 야권연대를 해온 민주통합당마저 당권파와 결별 수순을 밟고 있다. 유시민, 심상정, 조준호로 대표되는 비당권파 지도부에 대한 동정론이 확산되고 이들에 힘이 실리면서 14일 전자투표 결과에 대한 당권파의 반발이 힘을 잃는 모습이다. 비당권파가 여전히 분당(分黨)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함에 따라 통합진보당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와 당권파의 축출 수순을 밟을 것으로 관측된다.◆통진 3인방..비대위체제..분당없다=12일 사퇴한 이정희 전 공동대표를 제외한 유시민ㆍ심상정ㆍ조준호 공동대표 3인은 14일 국회에서 대표단 회의를 열고 12일 발생한 중앙위원회 폭력사태에 대해 당원과 국민에게 거듭 사과하면서 강기갑 비대위체제로 당 쇄신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분당보다는 당을 안정적으로 끌고가겠다는 의지다. 심상정 공동대표는 당권파의 전자투표 무효 주장에 대해"당헌에 의거한 합법적이고 정상적인 중앙위"라면서 "합법적인 당의 요청을 거부하는 당원 당직자들이 없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유시민 공동대표는 "당은 현재 사실상 무정부상태로 갈 위험에 처해 있다"면서 "비대위를 구성해서 당의 혼란을 수습하고 새로운 당헌 당규에 따라 당의 지도체제를 다시 세우는 것이 혼란의 장기화를 막는 유일한 길"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대위체제로 가면 당권파인 장원섭 사무총장에 대한 문책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폭력사태로 부상을 입은 조준호 공동대표는 "진보는 허물이 있음을 두려워 해서는 안된다"며 "내 허물이든 내 밖의 허물이든 사회의 허물이든 국가의 허물이든 직시하고 과감하게 허물을 드러내고 치유하고 벗어던지는 것이 진보의 본연의 임무"라고 강조했다. ◆진보계도 민주당도 당권파 안돼=일어날 수 없는 일이 일어나자 진보진영이 발칵 뒤집혔다.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트위터에 "오늘로 대한민국 진보는 죽었다"고 말했다. 조국 서울대 법대 교수도 "통합진보당이 당외 국민은 물론이고, 참여당과 진보신당, 민주노총도 무시한다"고 말했다. 소설과 이외수 씨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열심히 일해도 모자랄 판국에 싸움질이나 하고 있다며 부끄러움을 모른다"고 비판했다.민주당은 야권연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지만 폭력사태에 대해서는 도를 넘었다는평가다. 박지원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당내에) 야권연대를 깨자는 얘기도 많다"며 "(진보당 사태에 대해)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야권연대 협상 실무를 담당했던 이인영 전 최고위원도 "지금 통합진보당은 객토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중도적 입장을 주장해온 김영환 의원은 11일 트위터에 "그들(통합진보당 당권파)은 정권교체의 밥상을 발로 차고 구정물을 끼얹고 있다"며 "우리는 애당초 하나가 될 수도, 되어서도 안되는 존재였다"고 밝혔다. ◆당권파 최악의 자충수 폭력사태=12일 폭력사태는 민주ㆍ진보진영은 물론 민심마저 폭력을 기획하고 주도한 당권파에 등을 돌리게 한 결정적 계기가 됐다.12일 회의전에 이미 당권파 핵심 실세인 이석기 비례대표 당선자와 장원섭 사무총장이 지도부가 대부분 퇴장했다. 심상정 공동대표가 오후 9시40분께 만장일치로 '강령개정안'을 의결하자 준비나 한 듯 당권파들이 단상을 점령해 대표단을 폭행했다.방송이 생중계를 하고 있었지만, 당권파는 이석기ㆍ김재연 당선자의 19대 국회 등원이라는 목표를 관철하기 위해 주저하지 않았다. 폭력사태의 주범은 당원과 학생들 300여명이었다. 이들은 수도권과 광주 전남 지역의 청년위원회 소속 당원과 일부 대학 총학생 연합회체인 '21세기 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소속으로 알려졌다. 대부분 20대 앳된 나이에 흰색 셔츠 차림이었다. 회의장엔 경희대 국제캠퍼스 출신의 정용필 한대련 의장, 박자은 전 한 대련 의장도 도 눈에 띄었고 한대련 집행위원장 출신인 김재연 당선자도 폭력사태를 보고만 있었다.김승미 기자 askme@김종일 기자 livew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승미 기자 askme@정치경제부 김종일 기자 livew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