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해지는 새누리 대권가도..'朴VS非朴' 결과는?

왼쪽부터 박근혜 위원장, 정몽준 의원, 김문수 지사, 안상수 전 인천시장, 임태희 전 실장

[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 새누리당의 당내 대권 경쟁구도가 갈수록 복잡해진다. 김문수 경기도지사에 이어 정몽준 의원이 29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고 이재오 의원도 조만간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이다.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과 안상수 전 인천시장도 가세한다. 안 전 시장을 빼면 모두 친이(친이명박)계다. 당내 '대선판'을 주도할 듯했던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내부의 적들'에 둘러싸였다. 이른바 '비박(非朴ㆍ비박근혜) 연대'가 현실이 되면 박 위원장의 대권 행보는 더욱 험난해질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쟁점은 완전국민참여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다. 이를 중심으로 박 위원장과 비박 잠룡들이 벌일 대결이 새누리당 대권 가도의 관전 포인트다. <strong>◆너도나도 '朴 때리기'</strong> = 비박 잠룡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박 위원장에 대한 비난을 쏟아냈다. 지난 총선까지 박 위원장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돌아가던 새누리당이 대권을 앞두고 '박(朴)대 비박(非朴)' 또는 '친박(親朴) 대 친이(親李)'로 양분됐다. 정몽준 의원은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새누리당은 1인 지배체제고, 당내 민주주의가 실종됐다"며 박 위원장을 정면으로 공격했다. 정 의원은 또 "새누리당은 정당으로서의 자생력을 상실했다"며 "지도자(박 위원장)는 보이는데 정당은 안 보인다"고 일갈했다.이재오 의원은 발언 수위가 더 높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박 위원장을 두고 "'나 혼자 가겠다'는 오만이 넘친다"고 비판했다. 김문수 지사는 "소통의 문제가 우려된다"며 박 위원장의 자질론을 제기했다. 박 위원장을 '때리는' 일이 대선 출마를 위한 통과의례가 된 듯하다.<strong>◆'비박연대' 실제로 이뤄질까?</strong> = 비박 주자들이 박 위원장에게 던지는 '견제구'는 아직 응집된 형태는 아니다. 박 위원장에 대항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연대 내지는 단일화를 하는 것도 자칫 '군소 후보군' 이미지를 덮어쓸 수 있어 위험하다.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30일 "비박 잠룡들은 저마다 다른 그림을 그리고 있을 것"이라면서 "그림을 완성하기 위해 뛰어넘어야 할 가장 큰 산이 박 위원장이라는 사실만 공통될 뿐"이라고 했다.이들이 응집할지는 결국 박 위원장에게 달렸다는 시각이 많다. 박 위원장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명분이 생길 수도 안 생길 수도 있다는 얘기다. 다음 달로 예정된 전당대회 등 당의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을 거치면서 '박 위원장 독주체제'라고 꼬투리를 잡을 만한 사안이 터져나오면 연대가 현실화될 수도 있다. 당장 전당대회에서 지도부 구성이 어떻게 되는지 지켜봐야 한다. '친박 라인업' 논란으로 이미 한 차례 내홍을 겪었기 때문이다.<strong>◆완전국민참여경선, 단순한 시스템을 뛰어넘는 정치적 함의</strong> = 박 위원장과 비박 주자들이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는 사안은 당내 대선후보 경선방식, 즉 완전국민참여경선 도입 여부다. 정몽준 의원, 김문수 지사, 이재오 의원 등 친이 주자들은 이구동성으로 "대선후보 선출을 국민에게 맡기자"고 주장한다. 반면 박 위원장은 "선수가 룰을 바꾸자고 하면 어떡하느냐"는 입장이다. 새누리당의 현재 규정은 대의원과 당원, 일반 국민의 실제 투표와 여론조사 결과를 각각 '20, 30, 30, 20'의 비율로 반영토록 한다.박 위원장의 입장에는 자신이 당권을 장악한 현재의 구도에서 굳이 경선룰을 바꿔 일반 국민의 참여 폭을 넓힐 이유가 없다는 구상이 깔려있다. 정몽준 의원 등은 "10년 전에 박 위원장도 '우리는 왜 국민참여경선을 안 하느냐'며 탈당하신 분"이라며 박 위원장을 압박하고 있다. 박 위원장에게 경선룰 문제는 그간 구축해온 '신뢰와 원칙'의 이미지를 공고하게 만들어줄 수도, 이를 허물어뜨릴 수도 있는 '양날의 칼'이나 다름없다. 김효진 기자 hjn2529@<ⓒ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효진 기자 hjn2529@ⓒ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