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앤비전]부품소재산업, 동반성장이 살길

필자는 20년 전 극세사를 아이템으로 지금의 회사를 창업하고 극세사클리너, 기능성 침구, 필터, 방탄복, 멤브레인 등 극세사에서 나노섬유까지 첨단소재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쉼없이 달려왔다. 웰크론은 2001년과 2005년 두 차례 부품소재기업으로 선정되면서 '반도체 크린룸용 와이퍼' '나노섬유 울파필터'를 개발해 내는 쾌거를 이뤘다. 작은 기업이 매출의 일부를 연구개발에 투자한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기에 정부 지원금으로 개발에만 집중했던 것은 행운 중에 행운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제품들은 곧바로 해외수출로 연결돼 회사 발전의 초석이 됐다. 부품소재산업은 우리나라 제조업의 근간으로 전체 제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부품소재라 함은 '상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나 중간생산물'을 뜻하는 것으로, 단독으로 독립적인 기능을 갖지 못하고 다른 제품과의 결합을 통해서만 완전한 제품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국가별 완제품 조립 생산 능력이 비슷해지다 보니 부품소재 산업이 국가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했고, 우리 정부도 2001년 '부품소재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하는 등 부품소재산업에 적극 동참하기 시작했다.  실제 우리나라는 정부의 이러한 노력과 기업들의 열정이 합쳐져 글로벌 부품소재 공급기지로 발돋움하는 데 성공했다. 부품소재 세계시장 점유율도 세계 6위까지 올라오면서 선진국과의 경쟁력 격차가 축소되고 수출경쟁력도 높아졌다. 또한 정부의 적극 지원으로 영세했던 부품 소재기업들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기도 했고 이는 고용을 늘리는 효과도 가져왔다.  그러나 지난 10년간의 노력과 성과에도 동반성장을 위한 취약한 생태계가 중소 부품소재기업의 도약에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소기업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수한 부품소재를 개발했을지라도 이를 사용하는 대기업은 한정된 소수 기업을 상대로 거래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신생 업체들의 '성과물'은 무용지물이 되고 마는 경우가 많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종속적인 거래구조가 공평한 기회를 저해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구조는 경영환경에 민감한 중소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데 어려움이 될 수밖에 없다. 대기업을 통해 해외시장에 진출하려던 계획이 무산되고 대기업들은 오히려 대일수입을 통해 부품소재를 공급받고 있는 형국이다. 국내 부품소재 기업의 기술 경쟁력이 높아진 데 반해 한국산 부품소재가 선진국 시장에서 점유율이 오히려 떨어지고 있는 것이 어찌 보면 당연한 이치다.  앞으로는 부품소재산업에 대한 지원정책은 이러한 문제점을 소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이뤄져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이 독자적으로 세계적인 기업이 되기는 어렵다. 산업 생태계를 체질적으로 바꾸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밑그림을 그려주어야 한다. 국내 부품소재 기업들이 부진재고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 간 전략적 제휴를 중계하거나 대기업의 수입선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중소기업의 판로 개척을 위해 마케팅 컨설팅, 국내외 전시회 지원 등 다양한 분야의 마케팅 지원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고충을 덜어주기 위해 개발 성과물을 상용화하는 데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정부가 비용을 들여 기업의 기술연구에 기여한 만큼 정부 차원에서 특허를 관리하는 등 국내 기술을 의식하는 해외기업의 특허소송 공격에도 방어할 수 있도록 국내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미래에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부품소재산업의 재정립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부품소재가 단순히 독립적인 산업이 아니라 다른 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근간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정부와 민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노력할 때다.이영규 웰크론 대표<ⓒ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