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뇌경막 이식술을 받은 환자가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에 걸려 숨진 사례가 국내에서 공식 확인된 가운데 뇌경막 뿐만 아니라 수술장비로도 전염되는 만큼 발병 사례가 더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우희종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교수는 29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CJD)에 감염된 환자의 뇌 조직을 사용하거나 수술에 사용된 외과 기구를 철저하게 소독하지 않고 사용하면 전염된다는 사례가 이미 확인된 바 있다"면서 "추가 발병 사례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이번에 국내 첫 사례로 보고된 '의인성 CJD'(iCJD)는 수술 등을 통해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형태로 세계적으로는 400건 이상 보고됐다. 이 환자는 1987년 뇌수막종으로 절제술을 받고 사람의 뇌조직을 원료로 한 뇌경막을 이식받은 후 잠복기를 거쳐 지난해 CJD가 발병했다. 이와 관련 우 교수는 지난 1969년 부터 뇌경막 수술에 사용된 '라이요두라'를 꼽았다.우 교수에 따르면 이 제품은 죽은 사람의 사체에서 떼어온 경막을 사용했다. 문제는 사람의 뇌조직을 수집하면서 불법적으로 사체 조직을 모집해 '어떤' 사람의 뇌조직을 썼는지 관련 자료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 1987년 이 제품을 이식받은 환자(미국)가 CJD에 감염됐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경막이식 후 발생한 CJD 200건 중 138건이 일본에서 이 제품을 쓴 후 발생했다.우 교수는 "지금은 수입이 금지됐지만 이 환자도 23년 전 CJD에 걸린 사람의 뇌조직이 사용된 제품을 이식받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로 인한 CJD의 잠복기는 30년까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이 환자가 이식받은 뇌경막 라이요두라는 산발성CJD에 감염된 환자 사체에서 적출한 것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추정된다.우 교수는 또 해당 제품을 시술받았던 환자 중 추가로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CJD에 감염된 사람의 뇌조직이나 수술도구, 수혈 등을 통해 감염된다는 것은 이미 확인된 사실이라 추가 환자가 발병할 가능성은 당연히 있다"면서 "의료관리가 안 됐기 때문에 이미 사망했거나 증상이 치매와 비슷해 단순 치매로 여겨졌을 수도 있다"고 했다.그러면서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된 제품인 것을 알고 있었는데도 보건당국이 이제서야 역학조사를 한다는 것을 늑장대응"이라면서 "이 제품을 사용한 병원을 모니터링 하고 제품 뿐만 아니라 수술도구가 어떻게 다른 환자에게 사용됐는지도 철저히 추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박혜정 기자 park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박혜정 기자 parky@ⓒ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