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으로 부른 '김정의 아리랑'
서울 종암동 자택 작업실에서 만난 김 정 화백(72)의 모습.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45년. 평생 '아리랑'을 주제로 그림을 그려온 이가 있다. 김 정 화백(사진·남 72). 그래서 그의 별명은 '아리랑 화가'다. 관람객의 눈을 자극하거나, 경매시장에서 수억 원 대 작품을 내밀며 미술시장을 주름잡는 화가는 아니다. 다만 나이 스물일곱 부터 지금껏 '아리랑 시리즈'로 국내외에서 조용하게 전시를 이어왔다. 지난 26일 서울 종암동 그의 자택을 찾았다. 검은 털모자와 빨간 체크무늬 남방을 입고 아이 같이 환한 미소로 반기는 김 화백을 만났다.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장마 지려나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 든다아우라지 뱃사공아 배 좀 건너 주게싸리골 올동백이 다 떨어진다김 화백은 기자에게 애잔한 '정선아리랑'을 들려주는 것으로 '아리랑 화가'로서의 인생 이야기를 시작했다.
강원 정선 아라리 85-2, 130*93cm,1985
◆ '아우라지'와 '베토벤'= "미술대학을 다니다 군대를 막 제대한 27살 무렵에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연출가 허 규의 '아우라지'라는 연극을 본 적이 있어요. 정선에 있는 송천과 골지천이 합류되는 실개천을 소재로 한 연극이었는데 당시 나는 그 게 일본말인줄 알았죠."이처럼 연극을 본 그는 정선을 찾았고 그곳에서 마을 사람들의 아리랑을 들었다. 구슬프고 애잔한 아리랑. 소금을 구하려면 태백산을 넘어 삼척까지 고된 걸음을 해야 하는 산골벽지 정선의 모습과 닮아 있었다. 첫번째 정선에서의 여행은 아리랑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다. 이어 아리랑과 관련된 곳에는 안가본데가 없다. 영월, 평창, 강릉, 진도, 밀양, 부산, 서산, 강릉, 서울, 경기도 등. 가는 곳마다 아리랑 가락과 관련된 사람들의 모습을 기록하며 그것을 색으로 승화시켰다. 그의 '아리랑 답사'는 한평생 계속됐다. 마흔이 돼 늦깎이 유학생으로 독일에서 공부할 때에도 아리랑 테마 작품을 남겼다. 지금까지 그가 그린 아리랑은 평면회화 200여점, 조각 및 입체 작품 100여점, 답사 스케치 800여점 등 1000여점이 넘는다. 경희대학교 서양화 전공 석사과정을 마친 후 한 참 뒤에야 독일로 간 까닭은 재밌게도 '베토벤' 때문이라 한다. 대학시절 베토벤의 클래식 음악에 빠져 종로통 음악 감상실을 전전했었던 그 열정이, 국악으로 그리고 독일 유학길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늘 '뿌리'에 대한 관심이 존재했다. 베토벤 개인에 대한 궁금증도 그렇고 아리랑 지역의 문화와 이를 바탕으로 한 한국의 소리와 정서를 발견하는 작업도 같은 맥락이었다.
◆ 조형교육학회와 아리랑 전파= 그의 독일유학은 '공방수업'이 주가 됐다. 김 화백은 학위를 따는 것보다 도제수업방식 안에서 수련하는 게 중요했다. 이런 경험은 한국에 돌아와 교육자로서 한국의 색과 형, 구조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제자들을 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특히 현존하는 국내 미술교육 관련 학회 중 최초인 '한국조형교육학회'를 1984년 설립해 초대 학회장으로 연구와 출판에 앞장서 일해 왔다. 김 화백은 "독일에서 공부하고 돌아와서 우리 미술교육과 비교해 보니 너무 차이가 많았다. 논문도 없었고 일본에서 가져와 흉내 내기 일색이었다"면서 "우리 것이 있지만 우리 스스로 찾아 기록하고 연구하고 체계화시키지 않으면 정신문화마저 뺏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가 그토록 아리랑을 고집하는 이유는 아리랑이 '우리를 비추는 소리이자 정신이자 거울'이기 때문이다. 아리랑은 민족적인 애환과 구슬픈 정서를 담아낸 것 뿐 아니라 농부들의 논노래나 들노래 같은 노동요로, 대학제국 말기에는 독립군 아리랑과 같은 민족의 노래로 불려왔다. 이처럼 아리랑은 고난 속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가락으로 울림을 갖는다.김 화백은 "아리랑은 단순한 한의 정서를 비추는 것이 아닌 슬픔과 좌절 속에서도 기어코 이겨내려는 은근과 끈기를 보여주는 우리 역사 속 범인들의 삶의 태도와 뿌리를 확인하게 하는 소중한 문화"라고 말했다.아리랑에 대한 우리의 무관심과 홀대에 김 화백은 안타깝고 걱정된다. 마침 최근 '아리랑'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중국은 지난 6월 21일 국가 무형문화재로 등재한데 이어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록 추진 중이다. 조선족의 유산도 중국의 것이라는 생각에서다. 설상가상으로 북한은 집단 체조극 '아리랑'을 중국과 합작해 영화로 제작했다. 내년 김일성 전 주석의 100회 생일에 맞춰 개봉될 예정이다. 그런데 정작 우리나라는 현재 60여종의 아리랑 중 정선아리랑만 지난 1971년 강원도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해놓고 있을 뿐이다. 오진희 기자 valer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온라인뉴스부 오진희 기자 valer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