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시장 트레이더들 '엔 강세는 계속된다, 앞으로도 쭉'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 지난주 일본 외환당국이 사상 최대 규모의 엔 매도·달러 매수 시장개입을 단행한 가운데 엔화는 1주일째 달러당 78엔선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예전에 비해 개입 효과가 오래 지속되고 있지만, 외환시장 트레이더들의 의견은 여전히 ‘임시방편’에 그칠 것이라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전문가들은 지난달 31일 하루동안 일본 재무성과 일본은행(BOJ)이 외환시장에 8조엔(1020억달러) 가까이 쏟아부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역대최고 수준으로 올랐던 엔화가치는 달러 대비 4.7% 절하됐으며 엔·달러 환율이 75.65엔에서 79.55엔으로 급격히 치솟았다. 아즈미 준(安住淳) 일본 재무상은 “일본 경제의 펀더멘털이 반영되지 않은 일방적 투기적 움직임이 극도로 심화됐다”면서 “납득할 만한 수준에 이를 때까지 개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2일에는 “지금 당국은 외환시장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면서 “환율동향을 긴밀히 감시하면서 필요한 경우 행동에 나설 것”이라면서 추가 개입을 경고했다.그러나 외환시장 트레이더들은 일본의 경상수지 흑자가 상당한 규모인데다 오래 지속된 디플레이션으로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투자피난처로 간주됐기에 안전자산 수요가 쉽게 떨어져 나가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스위스 중앙은행(SNB)의 경우 스위스프랑화가 유로당 1.0075프랑까지 떨어지며 초강세를 보이자 유로화 대비 프랑화 최저환율 목표치를 유로당 1.20프랑으로 고정하는 초강수를 두어 이를 억제하는 데 성공했지만, 일본 경제 규모는 스위스 경제의 10배 이상이라는 차이가 있다.비말 고르 BT인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 트레이더는 “엔화는 여전히 선호 투자대상”이라면서 “세계 경제 둔화에 따른 위험회피 국면에서 일본은 여전히 상당한 무역흑자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의 단독개입은 실질적인 지속효과가 없으며, 매수 기회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그렉 깁스 RBS 외환투자전략가는 “시장 관계자들은 일본이 앞으로도 시장개입에 나설 의지가 있는지, 그럴 능력이 있는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했다.가라카마 다이스케 미즈호코퍼레이트뱅크 이코노미스트는 “8조엔은 정말 엄청난 규모이지만, 달러를 엔으로 시급히 바꿔야 하는 수출업체들의 수요가 대부분 이를 흡수할 것”이라고 말했다.샤하브 잘리누스 UBS 선임외환투자전략가는 “스위스프랑·유로의 경우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 불확실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심리)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으며, 그만큼 고평가된 것에 따른 위험부담도 컸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엔·달러의 경우 내재변동성이 크게 낮은 편이었으며 이는 그만큼 시장의 위험부담도 제한적이라는 의미”라고 말했다.김영식 기자 grad@<ⓒ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김영식 기자 gr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