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국감]'질본, 고위험 병원체 안전관리 부실'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탄저균, 페스트 등 고위험 병원체에 대한 보건당국의 안전관리 계획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주승용 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2011 소방계획서'에 따르면, 평상시 자위소방대 운용에 관한 내용은 있지만 야간이나 공휴일 화재가 발생했을 때 고위험 병원체를 누가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다.주 의원은 또 "당직실에 비치된 '상황보고 및 전파체계'에는 화재시 총무과장에게 보고하도록 돼 있으나, '질병관리본부 고위험 병원체 자원 보존실 상황전파체계'에는 당직실 근무자가 고위험병원체 담당자와 백업담당자에게 연락하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결국 '상황보고 및 전파체계'를 따지는 당직실 근무자는 고위험 병원체 담당자와 백업 담장자가 누구인지 모르기 때문에 상황전파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아울러 질병관리본부의 '고위험병원체 등 중요병원체의 안전지출 및 긴급파기 계획'에 따르면, "건물 화재 등 재난으로 연구동 건물이 파괴될 경우 고위험병원체의 유출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 계획서에는 비상시 고위험 병원체의 운송 담당자에 서울에 거주하는 직원 3명의 이름이 포함돼 있다고 주 의원은 지적했다.현재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의 방호과 경비는 보건복지부 생명과학진흥과의 오송 보건의료행정타운관리 TF팀이 맡고 있다. 그러나 복지부의 '오송 보건의료행정타운 방호계획'에는 야간이나 공휴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우선순위에 따른 전파체계에 질병관리본부가 빠져있었다.주 의원은 "복지부에 국감자료를 요구한 뒤에야 뒤늦게 복지부가 방호계획을 수정해 질본 당직실을 전파체계에 추가시켰다"며 "복지부와 질본은 오송의 안전 계획을 철저히 점검하고, 오송의 각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비상 상황에서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박혜정 기자 park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박혜정 기자 parky@ⓒ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