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G가 끝나야 4G가 사는데..1.8㎓ 주파수 못잡은 KT의 고민

가입자 32만명..폐지시기 불투명 LTE서비스 차질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주파수 경매로 인한 후속 여파로 KT의 속이 까맣게 타들어가고 있다. KT는 당초 주파수 경매에서 1.8㎓ 주파수를 추가로 낙찰 받아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를 시작할 방침이었으나 이를 SK텔레콤에게 넘겨주면서 LTE 서비스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다급해진 KT는 1.8㎓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2G서비스를 종료, 이 주파수를 LTE 서비스로 전환한다는 계획이지만 2G서비스 종료 일정마저 불투명한 실정이다. 2일로 예정된 방통위 전체회의에 안건 상정이 안되거나 폐지 승인을 못 받을 경우 연내 LTE 상용 서비스에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KT, 2G 가입자 정리 못하면 연내 LTE 서비스 어려워져=1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2일 열리는 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KT의 2G 서비스 종료안 상정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아직 최시중 위원장을 비롯한 상임위원들에게 보고를 못 마쳤기 때문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아직 위원장 보고를 못 마쳐 2일 열리는 회의 안건으로 KT의 2G 서비스 종료안이 상정될지 미지수"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5일부터 추석 직전인 오는 11일까지 미국 출장길에 오를 예정이다. 2일 전체회의에 KT의 2G 종료안이 상정되지 못할 경우 추석 이후에나 안건이 상정될 전망이다.KT는 당초 주파수 경매에서 1.8㎓ 주파수를 추가로 낙찰 받아 LTE 서비스를 시작할 방침이었다. 이미 경쟁사가 LTE 서비스를 시작했고 2G 서비스 종료도 원활하지 않아 1.8㎓ 주파수를 추가로 할당받아야만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낙찰에 실패함에 따라 2G 가입자를 빨리 정리한 뒤 2G 서비스에 사용하던 1.8㎓ 주파수를 LTE용으로 전환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10월부터 LTE 스마트폰ㆍ태블릿PC 출시…다급해진 KT=KT가 2G 종료를 서두르는 까닭은 아무리 늦어도 11월부터는 LTE 상용서비스를 시작해야 경쟁사들과 4세대(4G) 서비스 경쟁에 뛰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SKT와 삼성전자가 10월부터 LTE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내 놓을 경우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고, 준비가 늦는 만큼 격차는 더 벌어지기 마련이다.KT는 1.8㎓ 외에도 LTE용으로 할당받은 900메가헤르츠(㎒)와 800㎒ 주파수를 갖고 있다. 900㎒에서 먼저 LTE 서비스를 시작할 수도 있지만 아직 대다수의 국가들은 해당 주파수를 2G 서비스에 이용하고 있어 채산성이 떨어진다. 결국 방통위의 결정만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만약 KT의 바램대로 2일 2G 서비스 폐지 안건이 상정된다 해도 변수는 남아있다. 아직 32만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남아있어 폐지 승인을 받는 일이 쉽지 않다. ◆KT 2G 가입자 현재 32만명 수준, 방통위 폐지 거부할 수도=방통위가 KT의 2G 서비스 폐지안을 승인하면 KT는 32만명에 달하는 가입자를 직권 해지 시킬 수 있다. 이렇게 강제 종료할 경우 2G 종료 사실을 모르는 가입자가 갑자기 휴대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등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남아있는 32만명의 가입자를 단시간 내에 3세대(3G) 서비스로 전환시키거나 타 이통사로 내보내는 방법도 어렵다. KT의 2G 가입자 상당수는 월 1만원대 수준의 요금을 내는 가입자들로 타 이통사가 굳이 마케팅 비용을 쓰면서 데려올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이석채 회장도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2G 서비스 종료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 회장은 지난 29일 주파수 경매 종료 직후 기자들을 만나 "이달 말 2G 서비스를 종료하고 11월부터 LTE 상용서비스에 나설 것"이라며 "9월말에 2G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는 방안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KT 관계자는 "이미 800㎒에서 SKT와 LG유플러스가 LTE 서비스를 시작한 반면 KT는 2G 서비스 종료가 미뤄질 경우 향후 경쟁사와의 LTE 서비스 경쟁에서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며 "방통위의 현명한 판단만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명진규 기자 aeo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