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대통령이 특별히 지정하는 사무 또는 대통령의 명을 받아 국무총리가 특히 지정하는 사무를 수행한다."특임장관실 홈페이지에는 특임장관의 임무를 이같이 소개하고 있다. 과거에는 특임장관을 '무임소장관'이라고 불렀고, 김영삼 정부에선 '정무장관'이라고도 했다. 정무장관직은 국민의 정부(김대중 대통령)에서 참여정부(노무현 대통령)때까지 폐지됐다가 2008년 이명박 정부에서 부활됐다.당과 정부, 청와대 그리고 시민단체 등과 소통과 협력 체제를 구축해 대통령의 원활한 국정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 조직인 특임장관실이 4ㆍ27 재보선 선거개입 논란으로 파문의 한 가운데 섰다. 정작 제역할은 방기한 채 민감한 선거에만 관심을 두는 것 아니냐는 야권의 비판을 면치 못하게 됐다.◆수첩이 뭐 길래…특임장관실 '해명' 의혹 키워= 지난 주 22일 파란색의 한 수첩이 국민참여당 쪽으로 입수됐다. 겉면엔 '특임장관실'이라는 하얀색 글씨가 박혀있었고, 안쪽엔 12쪽 분량의 김해을 선거 상황이 자세하게 기록돼 있었다.김해을 국회의원 보궐선거 이봉수 선대위가는 곧바로 특임장관실의 김해을 선거 불법개입의혹을 제기했다. 그 근거로 수첩을 제시했다. 당시만 하더라도 수첩의 주인공은 확인되지 않았다. 단지 수첩에 등장하는 특임장관실 소속 두 명의 공무원 이모씨와 정모씨의 이름만 정치권에서 나돌았다.특임장관실은 해명자료를 통해 "수첩은 기념품으로 9000부 가량이 제작돼, 그동안 내방객 및 행사 참석자, 새해 선물 등으로 6500부 가량 배포됐다"며 "특임장관실 수첩이라는 이유만으로 직원의 선거 개입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맞섰다.특임장관실의 반격 효과는 오래가지 않았다. 곧바로 제보자를 통해 특임장관실 직원이 수첩을 찾기 위해 수소문했다는 정황부터 한 편의점을 방문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편의점에 남긴 전화번호는 특임장관실 신모 시민사회팀장으로 밝혀졌다. 심 팀장은 또 김태호 한나라당 후보와 같은 동향 출신으로 선거개입 논란은 더욱 커졌다.◆특임장관실 직원 수첩엔 무엇이 있었나= 수첩 주인으로 추정되는 신 팀장의 수첩에는 특임장관실 이모 사무관과 정모 사무관이 등장한다. 이름 밑에는 공식 메일이 아닌 개인 메일주소도 적혀있다.수첩에는 정보수집을 의미하는 자세한 지시 내용도 담겨있다. '후보에 대한 평가'를 기록하거나 '택시를 여러대 탄다', '중간보고', '자동차 대리점과 꽃가게', '특이한 소문', '정확한 바닥민심 파악' 등 여느 선거캠프의 선거운동 및 정보수집과 닮았다.뿐만 아니라 '민주, 열심히 도와봐야 얻을 것 없어. 김해을(乙) 민주당이 안 뛴다'에서부터 '다 따라잡은 척(지지층 독려)'이라고 적혀 있다.수첩에는 '식당 4번', '미장원 1번', '택시 6번', '담배가게 2번', '문방구 2번' 등 김해을에서의 동선도 기록돼 있다. 수첩의 주인은 만난 사람들의 나이와 직업, 지지성향까지 꼼꼼하게 기록했다. 내용과 분량을 보더라도 하루 이틀 사이에 모을 수 있는 정보를 넘어선다. 수첩 내용에 '여관' '짬'이라는 문구를 보더라도 숙식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이재오 장관 선거개입 논란과 맞물리나= 특임장관실은 소속 직원을 "특정지역(김해)에 파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특임장관실 관계자는 "이봉수 후보 측에서 제기한 의혹에 대해서는 선관위에 조사의뢰가 된 만큼 선관위가 사실 여부를 밝혀 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그러나 특임장관실은 지난 20일 친이계 모임에 참석해 선거운동 격려와 함께 구체적인 지침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야권으로부터 한 차례 관권선거 개입 논란을 일으킨 이재오 특임장관에 이어 직원의 선거개입 논란으로 이래저래 곤혹스런 상황이다.민주당은 지난 주 이 장관에 대해 선거법 위반으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고, 참여당은 25일 이 장관과 신 팀장, 이모, 정모 사무관을 선거법 위반으로 창원지방검찰청에 고발했다. 야당은 이 장관 등이 공직선거법의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제9조)과 선거중립 의무(제86조)를 위반했다고 보고 있다.김달중 기자 dal@<ⓒ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달중 기자 dal@ⓒ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