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 찔린’ 해운사, “이번 사태 교훈 삼겠다” 해적퇴치책 골몰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이번 사태를 교훈 삼겠다.” 그동안 침입이 어렵다고 판단돼온 대형 컨테이너선박마저 해적들의 표적이 되자, 해운업계가 ‘고강도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점점 업그레이드되는 해적들의 납치기술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 움직임도 가속화될 전망이다.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해운업체 최고경영자(CEO)들로 구성된 한국선주협회 회장단은 내달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아시아선주대표자회의(Asian Shipowners´ Forum)에 참석, 해적 퇴치를 위한 국제적 공조방안을 주요 안건으로 올릴 예정이다.한국선주협회 수석부회장인 김영민 한진해운 사장은 “청해부대를 포함한 연합함대의 활동지역을 인도양까지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적들의 활동범위가 아덴만 등 근해에서 벗어나 인도양 원해까지 넓어지고 있는 만큼, 이에 맞춘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김영민 사장은 “자체적으로도 해적 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현재로는 무장요원이 제일 나은 대책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한진텐진호) 사태를 교훈삼아 (감속운항을 실시해왔던) 컨테이너선박의 속도를 20노트(36km) 이상 유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특히 해운업계는 파견된 해군이 해적을 수사하고 체포할 수 있는 국제법 및 제도가 먼저 마련돼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물대포 및 선원대피처(시타델) 설치, BMP(해적피해방지대응요령) 준수 등이 한진텐진호의 피랍 위기를 모면케 한 것은 사실이지만, 선박이 해적을 피해가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대형해운사 고위관계자는 “한진텐진호의 선원들이 무사히 구출된 데는 시타델이 결정적 역할을 했지만 이 또한 완벽한 대응책은 되지 못한다”며 “해적들이 또 다른 공략법을 들고 나올 것이란 생각으로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선사별로는 그간 비용부담이 커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아온 무장보안요원의 승선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양 등 위험지역에서 4인 1조의 무장요원이 탑승, 선원들을 보호하는 데 드는 비용은 편도당 4~6만달러에 달한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무장요원이 탑승한 선박은 27척, 103회에 그쳤다.조슬기나 기자 seul@<ⓒ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조슬기나 기자 seul@ⓒ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