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한국은행이 지난 1월에 이어 2달만에 금리를 인상했다. 총액한도대출 금리도 25개월만에 0.25%포인트 올렸다. 인플레이션 심리를 차단, 점차 커지는 물가상승압력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10일 한은은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대비 0.25% 포인트 올린 3.00%로 확정했다. 총액한도대출 금리는 기존 대비 0.25%포인트 올린 1.5%로 결정했다. 경기회복과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원자재가 상승 등으로 인해 최근 물가상승 속도가 위협적인 수준에 다다랐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소비자물가는 4.5%로 2년 3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는 2개월 연속 한은의 물가목표치인 3%±1%를 초과한 4%초중반을 유지했다. 게다가 이달 물가도 2월과 비슷한 4% 중반 수준인 것으로 밝혀져 금리인상이 필수적인 상황이었다.김중수 한은 총재는 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업무보고를 가진 후 이혜훈 한나라당 의원의 질문에 "유가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단언할 수는 없지만 (물가가) 지금 수준으로 갈 것"이라며 "3월 물가도 2월 수준에서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주는 선행지수인 생산자물가도 27개월만에 최고치인 6.6%를 기록했다. 생산자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의 상승으로 직결되지는 않지만, 작게는 수 주일부터 수 개월까지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향후 추가적인 물가상승 가능성이 높다. 과잉유동성으로 인한 자산버블 확대를 막기 위해서도 금리정상화는 필요한 수순이다. 한은은 9일 업무보고에서 "광의통화(M2) 증가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시중유동성은 실물경제활동에 비해 여전히 풍부한 상태"라고 밝혔다. 또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역시 지난 9월 이후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왔다.김 총재 역시 기준금리 인상을 강하게 시사했다. 김 총재는 9일 업무보고에서 물가안정과 성장 중 어느 쪽을 중시하겠느냐는 질문에 "물가 안정을 가장 높은 가치로 생각한다"고 답했다.기준금리가 인상되면 800조원에 달하는 부채를 지고 있는 가계의 이자부담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한은은 고소득 가계의 대출비중이 큰 우리 경제의 특성상, 금리인상이 가계에 큰 충격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총재는 9일 가계의 이자부담을 우려하는 의원들의 질의에 대해 "소득분위별로 보면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는 가계부채 비중이 높지 않은 반면 소득이 높은 분위에서 빚을 많이 지고 있다"며 "미시적 수준으로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중동사태 역시 생각만큼 국내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평가다. 김 총재는 9일 업무보고에서 중동사태에 대해 "생각만큼 심각하지 않다"며 "(유가상승은) 국제적 투기수요도 있고, 구조적인 면에서 인도, 중국 등의 수요에 대해 재고를 갖고 있어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이지은 기자 leezn@<ⓒ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지은 기자 leez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