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PF사업, 장기불황에 저축銀 구조조정 직격탄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공모형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의 연이은 좌초는 부동산 시장의 장기 불황으로 사업성이 크게 악화된 영향이 크다. 최근 어려움을 겪는 사업장 대부분은 부동산 활황기에 시작된 곳들이다. 부동산 호시절에 계획을 잡다보니 공모형 PF사업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인식됐다. 신도시 기반시설이나 도심 역세권 등 핵심 지역에 지어져 사업성이 밝을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8년 세계 금융위기란 예상치 못한 복병을 만나면서 각 공모형 PF사업장의 장밋빛 청사진에 문제가 생겼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호시절 호언장담했던 분양사업이 당장 삐꺽거리기 시작했다. 이는 수익성과 바로 직결되는 문제다. 수익성에 문제가 생기다 보니 사업비를 구하기도 힘들어졌다.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용산역세권사업)이 지난해 무산이라는 벼랑끝까지 내몰렸던 것도 수익성이 근본 이유였다.정부가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다는 점도 공모형 PF사업엔 악재다. 최근 예금인출(뱅크런) 사태가 발생한 저축은행의 공통점은 부동산 PF 대출 비중이 높다는 것이다. 아파트와 상가, 복합단지 등 대형 건축 사업장의 주요 자금줄 역할을 한 저축은행이 이처럼 무너지자 공모형 PF사업장에서 신규 자금줄을 찾기도 만만찮은 상황이 됐다. 건설사 역시 저축은행의 PF 대출에 지급 보증을 선 곳이 많아 자금을 추가로 투입하긴 쉽지 않다. 이처럼 자금줄을 찾기가 쉽지 않다보니 공모형 PF사업의 시행자로 참여하는 금융권이 과도한 요구를 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오현 건설산업연구원 실장은 "공모형 PF사업이 안정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선 사업 관계자들이 형평성에 따라 리스크를 분담하고 각자의 전문성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지만 시공사가 리스크를 떠안고 있는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권 실장은 "지금처럼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은 상태서 저축은행 사태까지 터지다 보니 공모형 PF사업이 설 곳을 잃었다"고 덧붙였다. 이은정 기자 mybang21@<ⓒ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은정 기자 mybang21@ⓒ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